대졸 혹은 대학에 재학중인 구직자 절반이 대학 졸업을 미뤘거나 미룰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대학에 재학중이거나 졸업한 구직자 1천116명을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53.2%(594명)가 `졸업을 유예 한 경험이 있거나 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전공별로는 경상계열 전공자가 60.2%로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이어 인문계열(59.3%), 사회과학계열(54.7%), 이공계열(53.6%), 예체능계열(37.6%) 순이었다.
졸업을 유예하는 이유로는 `부족한 스펙을 쌓기 위해서`(50.8%)를 가장 꼽았고 `막연한 불안감 때문에`(46.1%), `기업이 졸업생을 기피해서`(45.3%) 등이 뒤를 이었다.
졸업유예를 하는 방법은 `졸업조건인 어학성적 등 미제출`(35.2%), `부족한 학점 이수`(30.0%), `1과목 또는 1학점 이상 수강`(27.8%), `졸업논문 미제출`(20.7%)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졸업유예를 위해 대학에 지불한 비용은 평균 24만원으로 집계됐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대학에 재학중이거나 졸업한 구직자 1천116명을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53.2%(594명)가 `졸업을 유예 한 경험이 있거나 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전공별로는 경상계열 전공자가 60.2%로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이어 인문계열(59.3%), 사회과학계열(54.7%), 이공계열(53.6%), 예체능계열(37.6%) 순이었다.
졸업을 유예하는 이유로는 `부족한 스펙을 쌓기 위해서`(50.8%)를 가장 꼽았고 `막연한 불안감 때문에`(46.1%), `기업이 졸업생을 기피해서`(45.3%) 등이 뒤를 이었다.
졸업유예를 하는 방법은 `졸업조건인 어학성적 등 미제출`(35.2%), `부족한 학점 이수`(30.0%), `1과목 또는 1학점 이상 수강`(27.8%), `졸업논문 미제출`(20.7%)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졸업유예를 위해 대학에 지불한 비용은 평균 24만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