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 LH가 매립폐기물을 고형연료로 자원화하는 기술을 민간과 합동으로 개발했다.
LH는 최근 부산명지지구를 개발하면서 선별된 약 30만톤의 가연성 폐기물을 감량화해 약 9만톤의 고형연료로 자원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지난 3월 ‘매립폐기물 자원화 특허등록’으로 특허권을 획득한데 이어 올해 기술고도화를 거쳐 국가 환경 신기술 인·검증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에 특허 기술을 활용해 생산한 부산명지지구의 고형연료 생산량 9만톤은 고형연료 매각액과 기존 위탁처리방식 대체효과를 감안하면 약 300억원 이상의 원가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된 고형연료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동안 막대한 처리비용이 들던 가연성 폐기물 처리비용 문제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원가를 절감하고, 이에 따른 환경피해 문제도 해결하면서 민간과의 상생에도 앞장서는 등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두게 됐다는 것이 LH 측의 설명이다.
LH는 "이번에 매립폐기물을 자원화한 에너지 지식을 바탕으로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 접목해 전 사업분야에 걸쳐 원가절감을 실천하고, 이를 통해 경영정상화의 ‘디딤돌’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LH는 최근 부산명지지구를 개발하면서 선별된 약 30만톤의 가연성 폐기물을 감량화해 약 9만톤의 고형연료로 자원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지난 3월 ‘매립폐기물 자원화 특허등록’으로 특허권을 획득한데 이어 올해 기술고도화를 거쳐 국가 환경 신기술 인·검증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에 특허 기술을 활용해 생산한 부산명지지구의 고형연료 생산량 9만톤은 고형연료 매각액과 기존 위탁처리방식 대체효과를 감안하면 약 300억원 이상의 원가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된 고형연료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동안 막대한 처리비용이 들던 가연성 폐기물 처리비용 문제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원가를 절감하고, 이에 따른 환경피해 문제도 해결하면서 민간과의 상생에도 앞장서는 등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두게 됐다는 것이 LH 측의 설명이다.
LH는 "이번에 매립폐기물을 자원화한 에너지 지식을 바탕으로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 접목해 전 사업분야에 걸쳐 원가절감을 실천하고, 이를 통해 경영정상화의 ‘디딤돌’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