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환자 10명 중 1명 이상이 병원 진료를 받으면서 성희롱 등 성적 불쾌감을 경험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7일 공익인권법재단 공감이 국가인권위원회의 의뢰를 받아 작성한 `진료 과정의 성희롱 예방 기준 실태조사 연구`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의료기관을 이용한 19∼59세 성인 여성 1000명 중 118명(11.8%)이 성희롱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과정의 성희롱과 관련한 실태 분석 보고서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성희롱을 겪었다고 답한 이들이 겪은 구체적 사례로는 `프라이버시가 보호되지 않는 공간에서 진찰 또는 검사를 위해 옷을 벗거나 갈아입은 것`(46건)이 가장 많이 선정됐다.
이어 의료인(또는 의료기사)이 외모나 신체 등에 대해 성적인 표현을 했다(30건) 진료와 관계없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상태에서 성생활이나 성경험을 물었다(25건) 진료와 관계없이 성적으로 신체를 만지거나 접촉했다(23건) 성생활이나 성적 취향에 대한 불필요한 언급을 했다(23건) 등으로 답했다.
이밖에 `성적농담(음담패설)이나 성적 비하`(14건), `의료인이 의도적으로 자신의 신체를 불필요하게 노출하거나 보여줌`(10건) 등의 사례가 있었으며 성폭행을 당했거나 성폭행당할 뻔했다는 답도 2건 있었다.
또한 성적 불쾌감을 가장 많이 느낀 진료과목·진료기관 1위는 내과(50.8%)였다. 이용 빈도가 높고 가슴과 배 부위 촉진이 빈번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다음으로 산부인과(45.8%)가 2위, 정형외과(24.6%)와 한의원(21.2%)이 3위와 4위였다. 밀착 진료가 이뤄지는 치과(20.3%)도 5위에 이름을 올렸다.
의료기관 규모별로는 병원 급(51.7%)에서 가장 많은 성희롱 관련 경험을 했고 이어 의원급(50.8%), 종합 병원 급(24.6%), 상급 종합 병원 급(11.9%)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성적 불쾌감을 경험할 때 대부분의 환자들이 아무 행동을 하지 않거나 해당 의료 기관에 다시 방문하지 않는 등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진료 과정의 일부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해서`, `적극 대응한다고 문제가 해결될 것 같지 않아서` 등이 꼽혔다.
이를 접한 누리꾼들은 "여성 10명 중 1명이면 10%! 생각보다 많은데", "여성 10명 중 1명, 조심해야겠다.“, ”여성 10명 중 1명, 적극적으로 대응하자“등의 반응을 보였다.
7일 공익인권법재단 공감이 국가인권위원회의 의뢰를 받아 작성한 `진료 과정의 성희롱 예방 기준 실태조사 연구`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의료기관을 이용한 19∼59세 성인 여성 1000명 중 118명(11.8%)이 성희롱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과정의 성희롱과 관련한 실태 분석 보고서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성희롱을 겪었다고 답한 이들이 겪은 구체적 사례로는 `프라이버시가 보호되지 않는 공간에서 진찰 또는 검사를 위해 옷을 벗거나 갈아입은 것`(46건)이 가장 많이 선정됐다.
이어 의료인(또는 의료기사)이 외모나 신체 등에 대해 성적인 표현을 했다(30건) 진료와 관계없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상태에서 성생활이나 성경험을 물었다(25건) 진료와 관계없이 성적으로 신체를 만지거나 접촉했다(23건) 성생활이나 성적 취향에 대한 불필요한 언급을 했다(23건) 등으로 답했다.
이밖에 `성적농담(음담패설)이나 성적 비하`(14건), `의료인이 의도적으로 자신의 신체를 불필요하게 노출하거나 보여줌`(10건) 등의 사례가 있었으며 성폭행을 당했거나 성폭행당할 뻔했다는 답도 2건 있었다.
또한 성적 불쾌감을 가장 많이 느낀 진료과목·진료기관 1위는 내과(50.8%)였다. 이용 빈도가 높고 가슴과 배 부위 촉진이 빈번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다음으로 산부인과(45.8%)가 2위, 정형외과(24.6%)와 한의원(21.2%)이 3위와 4위였다. 밀착 진료가 이뤄지는 치과(20.3%)도 5위에 이름을 올렸다.
의료기관 규모별로는 병원 급(51.7%)에서 가장 많은 성희롱 관련 경험을 했고 이어 의원급(50.8%), 종합 병원 급(24.6%), 상급 종합 병원 급(11.9%)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성적 불쾌감을 경험할 때 대부분의 환자들이 아무 행동을 하지 않거나 해당 의료 기관에 다시 방문하지 않는 등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진료 과정의 일부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해서`, `적극 대응한다고 문제가 해결될 것 같지 않아서` 등이 꼽혔다.
이를 접한 누리꾼들은 "여성 10명 중 1명이면 10%! 생각보다 많은데", "여성 10명 중 1명, 조심해야겠다.“, ”여성 10명 중 1명, 적극적으로 대응하자“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