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지 기자로서 명품 업계를 출입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이 부서에 오기 전까진 알지 못했다. 대부분 출입처는 일간지 기자들의 질문에 성심성의껏(물론 알려줄 수 있는 선에서, 알리고 싶은 내용에 한해서지만) 대답해준다. 기자들이 만나는 사람 대부분은 홍보실 직원이기 마련인데, 홍보실 직원들이 하는 일은 그 기업과 제품, 행사의 장점을 언론을 통해 널리 알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명품 업계는 달랐다. ‘굳이 알리려고 애쓰지 않아도 된다’는 태도였다.
명품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럭셔리 브랜드 A는 한때 ‘가격 기습 인상’으로 유명세를 탔다. 당시 나는 5월 1일부터 A 브랜드가 가격을 10퍼센트 이상 올린다는 얘기를 듣고 담당자에게 맞는다는 걸 확인하고(어쩌면 당연한 얘기겠지만 가격 인상 얘기는 기자가 물어보기 전에는 절대 먼저 해주지 않는다) 4월 말에 기사를 썼다.
길지 않은 기사였지만 그 기사가 나간 뒤 5월 1일이 되기 전에 사재기를 하려는 여성들이 매장에 줄을 서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10퍼센트라고 하면 감이 안 오겠지만 몇백~몇천만 원짜리 명품인지라 10퍼센트면 상당한 액수가 된다. 게다가 그때가 혼수 시즌이었기에 당장 제품이 없으면 대기 리스트에 이름을 올려서라도 미리 결제하려는 사람들로 넘쳐났다.
5월 중순께 그 브랜드의 홍보팀 임원을 만나게 됐다. 점심을 먹으며 그분은 “그 기사 때문에 4월 말에 매출 그래프가 갑자기 뛰었어요. 월 매출 최고치를 경신했다니까요”라고 했다. 나는 당연히 좋았겠다 싶어 “본사에서도 좋아했겠네요. 어떻게 그렇게 올랐는지 묻지 않던가요?”라고 웃으며 질문을 던졌다.
그런데 돌아온 대답은 의외였다. “좋기는요, 당장 이번 달 매출이 그만큼 안 되면 어쩌나 걱정이 앞서는걸요. 최고치를 경신하는 게 우리 목표가 아니거든요. 매출 그래프가 들쭉날쭉한 것보다는 마이너스 보지 않고 꾸준한 수준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죠.”
이어진 그분의 얘기는 더 충격적이었다. “근데 일간지에서는 명품 브랜드 한 곳이 가격을 올리고 내리는 게 그렇게 중요한 기삿거린가요? 세계에서 우리나라만큼 명품 가격 인상에 민감한 나라도 없을 거예요. 고작해야 3퍼센트, 많아야 10퍼센트 안쪽으로 올리는 건데 그걸 기사로 쓰고 그 기사를 보고 줄을 서서 사재기를 하다니, 참 이해하기 어려워요.”
A 브랜드의 홍보 임원이 그런 질문을 던진 배경에는 자사 브랜드에 대한 자긍심이 깔려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명품을 소비하는 계층, 즉 그 브랜드가 타깃으로 삼고 있는 고객은 가격 좀 올리고 내리는 데 신경 쓰지 않는, 그야말로 돈이 아주 많은 사람들이라는 의미도 담겨 있을 것이다. 정말 돈 있는 명품 소비층은 몇십만 원 오른다고 해서 그것 좀 싸게 사자고 사람들 많은 명품 매장 앞에 줄을 서는 일은 절대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 한 가지, 명품 브랜드 입장에서 일간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언론이라는 인식도 깔려 있었다. 월간지인 패션 잡지들이 그들의 주요 타깃인 이유는 첫째, 주 소비층인 여성들이 독자이고 둘째, 그 브랜드가 하고 싶은 얘기를 별로 고치지 않고 그대로 전달할 수 있는 매체이기 때문이며 셋째, 본사 방침상 명품 브랜드의 주요 소통 채널을 패션 잡지로 책정하여 그쪽에 오랜 기간 광고를 해왔기 때문이다.
그러니 “매출이 얼마나 올랐나요?”, “베스트셀러라고 하는데 정확히 몇 개나 팔린 겁니까?”, “이 제품의 정가는 얼마고 얼마나 더 오르나요?”등 ‘수치’를 자꾸 묻는 일간지 기자들은 껄끄러운 존재일 수밖에 없다. 게다가 될 수 있으면 영어 표현을 쓰지 않고 한국어로 바꿔 써야 하는 신문 지면의 성격상 그 브랜드가 강조하고 싶어 하는 ‘엘레강스한 아이코닉 아이템’, ‘오리지널 프렌치시크’, ‘디테일을 살린 고감도의 로맨티시즘’ 같은 단어는 절대 쓸 수가 없다.
그러니 광고도 하지 않는 신문 매체의 기자에게 본사에서 밝히길 좋아하지 않는 판매량, 매출 등의 수치를 굳이 알려줄 필요도 없고 그럴 수도 없는 셈이다. 일간지 기자와 명품 업체의 직원들이 탁 터놓고 좋은 취재원과 기자 관계가 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내가 알고 싶은 것을 그들은 알려줄 수 없고 그들이 알리고 싶은 것을 나는 알고 싶지 않거나 기사로 쓸 수 없으니까 말이다. 수요와 공급의 원칙은 취재할 때도 통하는 불변의 진리라는 사실.
명품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럭셔리 브랜드 A는 한때 ‘가격 기습 인상’으로 유명세를 탔다. 당시 나는 5월 1일부터 A 브랜드가 가격을 10퍼센트 이상 올린다는 얘기를 듣고 담당자에게 맞는다는 걸 확인하고(어쩌면 당연한 얘기겠지만 가격 인상 얘기는 기자가 물어보기 전에는 절대 먼저 해주지 않는다) 4월 말에 기사를 썼다.
길지 않은 기사였지만 그 기사가 나간 뒤 5월 1일이 되기 전에 사재기를 하려는 여성들이 매장에 줄을 서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10퍼센트라고 하면 감이 안 오겠지만 몇백~몇천만 원짜리 명품인지라 10퍼센트면 상당한 액수가 된다. 게다가 그때가 혼수 시즌이었기에 당장 제품이 없으면 대기 리스트에 이름을 올려서라도 미리 결제하려는 사람들로 넘쳐났다.
5월 중순께 그 브랜드의 홍보팀 임원을 만나게 됐다. 점심을 먹으며 그분은 “그 기사 때문에 4월 말에 매출 그래프가 갑자기 뛰었어요. 월 매출 최고치를 경신했다니까요”라고 했다. 나는 당연히 좋았겠다 싶어 “본사에서도 좋아했겠네요. 어떻게 그렇게 올랐는지 묻지 않던가요?”라고 웃으며 질문을 던졌다.
그런데 돌아온 대답은 의외였다. “좋기는요, 당장 이번 달 매출이 그만큼 안 되면 어쩌나 걱정이 앞서는걸요. 최고치를 경신하는 게 우리 목표가 아니거든요. 매출 그래프가 들쭉날쭉한 것보다는 마이너스 보지 않고 꾸준한 수준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죠.”
이어진 그분의 얘기는 더 충격적이었다. “근데 일간지에서는 명품 브랜드 한 곳이 가격을 올리고 내리는 게 그렇게 중요한 기삿거린가요? 세계에서 우리나라만큼 명품 가격 인상에 민감한 나라도 없을 거예요. 고작해야 3퍼센트, 많아야 10퍼센트 안쪽으로 올리는 건데 그걸 기사로 쓰고 그 기사를 보고 줄을 서서 사재기를 하다니, 참 이해하기 어려워요.”
A 브랜드의 홍보 임원이 그런 질문을 던진 배경에는 자사 브랜드에 대한 자긍심이 깔려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명품을 소비하는 계층, 즉 그 브랜드가 타깃으로 삼고 있는 고객은 가격 좀 올리고 내리는 데 신경 쓰지 않는, 그야말로 돈이 아주 많은 사람들이라는 의미도 담겨 있을 것이다. 정말 돈 있는 명품 소비층은 몇십만 원 오른다고 해서 그것 좀 싸게 사자고 사람들 많은 명품 매장 앞에 줄을 서는 일은 절대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 한 가지, 명품 브랜드 입장에서 일간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언론이라는 인식도 깔려 있었다. 월간지인 패션 잡지들이 그들의 주요 타깃인 이유는 첫째, 주 소비층인 여성들이 독자이고 둘째, 그 브랜드가 하고 싶은 얘기를 별로 고치지 않고 그대로 전달할 수 있는 매체이기 때문이며 셋째, 본사 방침상 명품 브랜드의 주요 소통 채널을 패션 잡지로 책정하여 그쪽에 오랜 기간 광고를 해왔기 때문이다.
그러니 “매출이 얼마나 올랐나요?”, “베스트셀러라고 하는데 정확히 몇 개나 팔린 겁니까?”, “이 제품의 정가는 얼마고 얼마나 더 오르나요?”등 ‘수치’를 자꾸 묻는 일간지 기자들은 껄끄러운 존재일 수밖에 없다. 게다가 될 수 있으면 영어 표현을 쓰지 않고 한국어로 바꿔 써야 하는 신문 지면의 성격상 그 브랜드가 강조하고 싶어 하는 ‘엘레강스한 아이코닉 아이템’, ‘오리지널 프렌치시크’, ‘디테일을 살린 고감도의 로맨티시즘’ 같은 단어는 절대 쓸 수가 없다.
그러니 광고도 하지 않는 신문 매체의 기자에게 본사에서 밝히길 좋아하지 않는 판매량, 매출 등의 수치를 굳이 알려줄 필요도 없고 그럴 수도 없는 셈이다. 일간지 기자와 명품 업체의 직원들이 탁 터놓고 좋은 취재원과 기자 관계가 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내가 알고 싶은 것을 그들은 알려줄 수 없고 그들이 알리고 싶은 것을 나는 알고 싶지 않거나 기사로 쓸 수 없으니까 말이다. 수요와 공급의 원칙은 취재할 때도 통하는 불변의 진리라는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