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앞서 보신것처럼 대형사들의 수수료 수익의존이 여전한 가운데 몇몇 중소형사들은 전문화되고 특화된 서비스로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어려움 속에서 대형사들과는 차별화 전략으로 승부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신동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국내 대표 온라인증권사 키움증권.
위탁매매시장 환경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빠르게 재편되는 과정에서 적절히 대응해 중소형사임에도 지난해 브로커리지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했습니다.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먹거리로 기업공개(IPO)부문과 인수합병시장 등 다양한 사업에 진출하며 주목할 만한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키움증권이 다양한 사업으로 수익을 다변화하는 것은 어려운 증권업황 시장속에서 더이상 위탁매매수수료만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전화인터뷰> 중소형사 관계자
"아무래도 대형사들이 여러사업을 하고 있고, 특히 자본력에 밀리죠. 그들과 경쟁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시장에서 일부 중소형사들은 저마다의 노력으로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핵심역량 투자를 통한 특화 사업전략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증권사 중 유일하게 종금업 라이선스를 가진 메리츠종금증권은 여신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 기업금융서비스 제공으로 다양한 수익을 창출해왔습니다.
특히 인수금융과 기업대출, 부동산담보대출 등 수익 다변화에 집중하며 성과를 키우는 중입니다.
또 이트레이드증권이 에너지상품 영업 확대에 나서고 있고, 현대증권은 카드를 신사업분야로 삼고 올해 초 자체 체크카드 브랜드인 `에이블`카드를 선보여 진출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교보증권과 IBK투자증권의 경우, 채권과 통화 등을 다루는 FICC부문을 강화해 차별화된 사업전략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도 중소형사들이 대형사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전문화되고 특화된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전화인터뷰>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실장
"대형증권사들과 소형사들은 선택과 집중이 필요합니다. 차별화시켜야한다. 대형증권사들과 경쟁하면 떨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특화로 가는것이 맞지 않겠느냐 전문성을 키워나간다면 기회가 올 수 있다."
지속되는 업황 불황 속에서도 국내 중소형 증권사들은 과당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차별화되고 전문화된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신동호입니다.
앞서 보신것처럼 대형사들의 수수료 수익의존이 여전한 가운데 몇몇 중소형사들은 전문화되고 특화된 서비스로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어려움 속에서 대형사들과는 차별화 전략으로 승부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신동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국내 대표 온라인증권사 키움증권.
위탁매매시장 환경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빠르게 재편되는 과정에서 적절히 대응해 중소형사임에도 지난해 브로커리지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했습니다.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먹거리로 기업공개(IPO)부문과 인수합병시장 등 다양한 사업에 진출하며 주목할 만한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키움증권이 다양한 사업으로 수익을 다변화하는 것은 어려운 증권업황 시장속에서 더이상 위탁매매수수료만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전화인터뷰> 중소형사 관계자
"아무래도 대형사들이 여러사업을 하고 있고, 특히 자본력에 밀리죠. 그들과 경쟁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시장에서 일부 중소형사들은 저마다의 노력으로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핵심역량 투자를 통한 특화 사업전략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증권사 중 유일하게 종금업 라이선스를 가진 메리츠종금증권은 여신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 기업금융서비스 제공으로 다양한 수익을 창출해왔습니다.
특히 인수금융과 기업대출, 부동산담보대출 등 수익 다변화에 집중하며 성과를 키우는 중입니다.
또 이트레이드증권이 에너지상품 영업 확대에 나서고 있고, 현대증권은 카드를 신사업분야로 삼고 올해 초 자체 체크카드 브랜드인 `에이블`카드를 선보여 진출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교보증권과 IBK투자증권의 경우, 채권과 통화 등을 다루는 FICC부문을 강화해 차별화된 사업전략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도 중소형사들이 대형사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전문화되고 특화된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전화인터뷰>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실장
"대형증권사들과 소형사들은 선택과 집중이 필요합니다. 차별화시켜야한다. 대형증권사들과 경쟁하면 떨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특화로 가는것이 맞지 않겠느냐 전문성을 키워나간다면 기회가 올 수 있다."
지속되는 업황 불황 속에서도 국내 중소형 증권사들은 과당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차별화되고 전문화된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신동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