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10명중 3명이 기업에서 요구하는 수준보다 학력이 높은 과잉학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14일 `학력 및 스킬 미스매치와 노동시장 성과` 보고서에서 취업자 4천422명 가운데 61%가 적정 학력으로 분류됐지만 27%는 과잉학력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과잉학력은 연령이 높고 중소기업일수록 심했다. 연령별로는 40~54세가 32.1%, 55~65세가 33.4%로 30대 미만 청년층 20.7%, 30대 22.3%에 비해 높았다.
학력별로는 전문대졸이 39.4%로 과잉학력비율이 높았고 4년제 대졸 이상은 23.8%, 고졸 24%, 중졸 이하는 26.4%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는 10인 이하 규모 과잉학력비율이 31.6%로 높았고 1천명 이상 규모 대기업은 16.8%였다.
직업능력개발원은 "40대 핵심 연령대, 고령자 상당수가 자신의 학력에 미치지 못하는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전문대졸 과잉학력이 높은 이유는 일자리가 고졸 일자리와 비교해 질적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직업방송 / <a href="http://www.worktv.or.kr">www.worktv.or.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14일 `학력 및 스킬 미스매치와 노동시장 성과` 보고서에서 취업자 4천422명 가운데 61%가 적정 학력으로 분류됐지만 27%는 과잉학력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과잉학력은 연령이 높고 중소기업일수록 심했다. 연령별로는 40~54세가 32.1%, 55~65세가 33.4%로 30대 미만 청년층 20.7%, 30대 22.3%에 비해 높았다.
학력별로는 전문대졸이 39.4%로 과잉학력비율이 높았고 4년제 대졸 이상은 23.8%, 고졸 24%, 중졸 이하는 26.4%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는 10인 이하 규모 과잉학력비율이 31.6%로 높았고 1천명 이상 규모 대기업은 16.8%였다.
직업능력개발원은 "40대 핵심 연령대, 고령자 상당수가 자신의 학력에 미치지 못하는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전문대졸 과잉학력이 높은 이유는 일자리가 고졸 일자리와 비교해 질적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직업방송 / <a href="http://www.worktv.or.kr">www.worktv.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