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투자증권은 11일 CJ제일제당에 대해 지속 가능한 펀더멘털 개선으로 3분기부터 흑자 전환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39만 원에서 45만 원으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습니다.
한국희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 8,032억 원(+3.4%)과 759억원(-0.7%)으로 예상한다"며 "지난해 1분기 이후 지속됐던 영업이익 감소 추세가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한 연구원은 "가공식품 부문의 성장과 저수익 제품 구조조정 이후 수익성 개선, 연어캔 등 고수익 신제품 판매 호조로 높은 매출 성장률과 수익성 개선을 동시에 달성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그는 "바이오 부문도 라이신 가격 반등으로 3분기부터 흑자 전환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 같은 실적 개선 동력은 단기에 그치지 않고 지속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이어 한 연구원은 "가공식품 부문은 고부가가치 신제품 런칭, 일회성 판촉비 합리화 등 중장기적 이익 개선으로 이어지고 글로벌 라이신 공업은 공급 과잉이 극심했던 중국을 중심으로 빠른 산업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습니다.
한국희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 8,032억 원(+3.4%)과 759억원(-0.7%)으로 예상한다"며 "지난해 1분기 이후 지속됐던 영업이익 감소 추세가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한 연구원은 "가공식품 부문의 성장과 저수익 제품 구조조정 이후 수익성 개선, 연어캔 등 고수익 신제품 판매 호조로 높은 매출 성장률과 수익성 개선을 동시에 달성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그는 "바이오 부문도 라이신 가격 반등으로 3분기부터 흑자 전환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 같은 실적 개선 동력은 단기에 그치지 않고 지속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이어 한 연구원은 "가공식품 부문은 고부가가치 신제품 런칭, 일회성 판촉비 합리화 등 중장기적 이익 개선으로 이어지고 글로벌 라이신 공업은 공급 과잉이 극심했던 중국을 중심으로 빠른 산업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