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위안화 직거래시장 개설 등 지난3일 한-중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위안화 활용도 제고` 관련 정책 이행을 위해 본격적인 업무에 착수합니다.
정부는 `위안화 금융서비스 활성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11일 오후 1차 회의를 열고 이행 방안 등을 논의했습니다.
TF에는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 관계당구과 금융기관 등이 참여했습니다.
최희남 기재부 국제금융정책국장의 주재로 이날 열린 회의에서는 무역결제 활성화와 위안화 금융 활성화, 자문그룹 등 세 개 작업반으로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원·위안화 직거래시장 개설의 경우 별도의 TF를 설치해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기재부는 원칙적으로 대중 교역기업과 금융회사 등 관련 업계의 의견을 우선 고려하는 상향식 논의(bottom-up)를 추진하고 세부 분야에 대해서는 작업팀별 소규모 회의를 수시로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재부 관계자는 "우선 한-중 정상회담 합의사항에 대한 구체적 실행방안 마련에 집중하겠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위안화 금융거래 확대를 통해 우리 금융시장이 위안화 역외센터로 발전해 나가기 위한 로드맵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위안화 금융서비스 활성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11일 오후 1차 회의를 열고 이행 방안 등을 논의했습니다.
TF에는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 관계당구과 금융기관 등이 참여했습니다.
최희남 기재부 국제금융정책국장의 주재로 이날 열린 회의에서는 무역결제 활성화와 위안화 금융 활성화, 자문그룹 등 세 개 작업반으로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원·위안화 직거래시장 개설의 경우 별도의 TF를 설치해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기재부는 원칙적으로 대중 교역기업과 금융회사 등 관련 업계의 의견을 우선 고려하는 상향식 논의(bottom-up)를 추진하고 세부 분야에 대해서는 작업팀별 소규모 회의를 수시로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재부 관계자는 "우선 한-중 정상회담 합의사항에 대한 구체적 실행방안 마련에 집중하겠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위안화 금융거래 확대를 통해 우리 금융시장이 위안화 역외센터로 발전해 나가기 위한 로드맵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