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 조사 결과, 8월 종합경기 전망치는 91.6으로 6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경제성장률 둔화와 내수경기 부진, 소비심리 위축, 주요 기업의 2분기 실적 부진 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전망치를 부문별로 보면 내수(91.0), 수출(93.7), 투자(97.9), 자금사정(96.4), 재고(102.9)*, 고용(98.5), 채산성(93.3) 등 모든 부분에서 부정적으로 전망됐습니다.
김용옥 전경련 경제정책팀장은 “내수 부진과 소비심리 위축 현상이 장기화됨에 따라 기업 체감 경기도 나빠지고 있다”면서 “과감한 규제 개혁과 확장적 거시경제정책을 통해 경제의 활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기업경기실사지수 7월 실적치는 90.8을 기록해 4개월 연속 기준선 100을 하회했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내수(95.4), 수출(94.5), 투자(97.7), 자금사정(96.9), 재고(104.4), 고용(96.6), 채산성(92.7) 등 모든 부분에서 부진했습니다.
* 재고는 100 이상일 때 부정적 답변(재고과잉)을 의미
[조사개요]
ㅇ 조사기간 : 2014. 7. 18(금) ~ 7. 25(금)
ㅇ 조사대상 : 업종별 매출액순 600대 기업(회수율 87.3%, 524개사 응답)
ㅇ 조사방법 : 응답기업 담당자의 자기기술과 조사원의 질의기술 병행
[첨부] 1. 업종별 분석 2. 부문별 분석 3. 통계편
[첨부1] 업종별 분석
□ 업종별 동향
○ 경공업(94.1)의 경우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87.0), 펄프·종이 및 가구(93.3)를 중심으로 전월 대비 부진 전망
- 7월 실적(86.8)은 펄프·종이 및 가구(66.7),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87.0), 음식류(96.7)를 중심으로 부진 기록
○ 중화학공업(88.0)의 경우 자동차·트레일러 및 기타운송장비(80.0), 전자 및 통신장비(81.8)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부진 전망
- 7월 실적(88.5)은 고무·플라스틱 및 비금속광물(73.9), 전자 및 통신장비(75.8), 1차금속 및 금속가공(90.0) 등을 중심으로 부진 기록
○ 비제조업(94.6)의 경우 컴퓨터프로그램 및 정보서비스(81.8), 도·소매(91.7), 방송·통신업(92.3)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부진 전망
- 7월 실적(94.6)은 컴퓨터프로그램 및 정보서비스(81.8), 방송·통신업(84.6), 전기·가스(88.0), 건설(90.0) 등을 중심으로 부진 기록
이는 경제성장률 둔화와 내수경기 부진, 소비심리 위축, 주요 기업의 2분기 실적 부진 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전망치를 부문별로 보면 내수(91.0), 수출(93.7), 투자(97.9), 자금사정(96.4), 재고(102.9)*, 고용(98.5), 채산성(93.3) 등 모든 부분에서 부정적으로 전망됐습니다.
김용옥 전경련 경제정책팀장은 “내수 부진과 소비심리 위축 현상이 장기화됨에 따라 기업 체감 경기도 나빠지고 있다”면서 “과감한 규제 개혁과 확장적 거시경제정책을 통해 경제의 활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기업경기실사지수 7월 실적치는 90.8을 기록해 4개월 연속 기준선 100을 하회했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내수(95.4), 수출(94.5), 투자(97.7), 자금사정(96.9), 재고(104.4), 고용(96.6), 채산성(92.7) 등 모든 부분에서 부진했습니다.
* 재고는 100 이상일 때 부정적 답변(재고과잉)을 의미
[조사개요]
ㅇ 조사기간 : 2014. 7. 18(금) ~ 7. 25(금)
ㅇ 조사대상 : 업종별 매출액순 600대 기업(회수율 87.3%, 524개사 응답)
ㅇ 조사방법 : 응답기업 담당자의 자기기술과 조사원의 질의기술 병행
[첨부] 1. 업종별 분석 2. 부문별 분석 3. 통계편
[첨부1] 업종별 분석
□ 업종별 동향
○ 경공업(94.1)의 경우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87.0), 펄프·종이 및 가구(93.3)를 중심으로 전월 대비 부진 전망
- 7월 실적(86.8)은 펄프·종이 및 가구(66.7),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87.0), 음식류(96.7)를 중심으로 부진 기록
○ 중화학공업(88.0)의 경우 자동차·트레일러 및 기타운송장비(80.0), 전자 및 통신장비(81.8)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부진 전망
- 7월 실적(88.5)은 고무·플라스틱 및 비금속광물(73.9), 전자 및 통신장비(75.8), 1차금속 및 금속가공(90.0) 등을 중심으로 부진 기록
○ 비제조업(94.6)의 경우 컴퓨터프로그램 및 정보서비스(81.8), 도·소매(91.7), 방송·통신업(92.3)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부진 전망
- 7월 실적(94.6)은 컴퓨터프로그램 및 정보서비스(81.8), 방송·통신업(84.6), 전기·가스(88.0), 건설(90.0) 등을 중심으로 부진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