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가운데 21%가 일제로부터 해방된 해가 정확히 언제인지 모른다고 답해
한심한 역사 교육의 실체를 그대로 드러냈다.
온라인 강의 전문 기업인 휴넷이 직장인 535명을 대상으로 `광복절 인식 조사`를 벌여 13일 밝힌 데 따르면
우리나라가 광복을 맞은 해가 언제인지에 대한 질문에 무려 21.1%가 오답을 택했다.
정답인 `1945년 8월 15일`을 맞힌 응답자는 78.9%로
오답 연도로는 1948년(10.7%), 1950년(5.4%), 1951년(2.8%), 1919년(2.2%) 등이 나왔다.
응답자가 스스로의 역사 인식 수준을 평가한 결과는 5점 만점에 평균 3.4점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역사 인식 수준이 보통이라는 답이 30.8%, 약간 높다는 답은 27.5%, 매우 높다는 답은 21.1%였고
반면 `약간 낮다`는 15.1%, `매우 낮다`는 5.4%로 집계됐다.
언제 역사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는지에 대해서는 31%가 `사회 내부적인 역사 이슈가 생길 때`를 들었고,
`자녀에게 역사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될 때` 24.7%, `자신이 역사적으로 무지하다고 느낄 때` 19.8%,
`외교적인 갈등 이슈가 있을 때` 17.9% 등으로 뒤를 이었다.
한심한 역사 교육의 실체를 그대로 드러냈다.
온라인 강의 전문 기업인 휴넷이 직장인 535명을 대상으로 `광복절 인식 조사`를 벌여 13일 밝힌 데 따르면
우리나라가 광복을 맞은 해가 언제인지에 대한 질문에 무려 21.1%가 오답을 택했다.
정답인 `1945년 8월 15일`을 맞힌 응답자는 78.9%로
오답 연도로는 1948년(10.7%), 1950년(5.4%), 1951년(2.8%), 1919년(2.2%) 등이 나왔다.
응답자가 스스로의 역사 인식 수준을 평가한 결과는 5점 만점에 평균 3.4점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역사 인식 수준이 보통이라는 답이 30.8%, 약간 높다는 답은 27.5%, 매우 높다는 답은 21.1%였고
반면 `약간 낮다`는 15.1%, `매우 낮다`는 5.4%로 집계됐다.
언제 역사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는지에 대해서는 31%가 `사회 내부적인 역사 이슈가 생길 때`를 들었고,
`자녀에게 역사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될 때` 24.7%, `자신이 역사적으로 무지하다고 느낄 때` 19.8%,
`외교적인 갈등 이슈가 있을 때` 17.9% 등으로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