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 구역 확대로 서울 시내 음식점 매출이 평균 26% 감소했다는 한 조사결과가 나왔다.
골목상권살리기소비자연맹은 지난 7월 서울 지역 음식점주 300여명을 대상으로 금연 구역 지정에 따른
경영 상황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음식점 가운데 53.1%는 금연 구역 확대로 매출이 줄어들었다고 답했고 매출 감소율은 평균 25.7%로 추산됐다.
매출이 증가했다는 답은 0.3%에 그쳤고, 영향이 없었다는 답은 45.6%였다.
음식점에 흡연실을 설치한 비율은 설치 비용 부담등에 따라 14%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소규모 음식점의 흡연실 설치에 세금을 지원하는 데 찬성하는 비율이 62.2%에 달했고,
음식점주가 금연 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선택적 금연구역 제도`에 찬성하는 비율도 64.2%로 나타났다.
연맹 관계자는 "일방적으로 금연 구역을 지정, 확대하는 것은 영세 사업자와 흡연자, 비흡연자 모두에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면서 "점주의 자율권을 넓히고, 흡연권과 비흡연권의 충돌을 예방하는 방향으로
흡연 구역을 확보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골목상권살리기소비자연맹은 지난 7월 서울 지역 음식점주 300여명을 대상으로 금연 구역 지정에 따른
경영 상황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음식점 가운데 53.1%는 금연 구역 확대로 매출이 줄어들었다고 답했고 매출 감소율은 평균 25.7%로 추산됐다.
매출이 증가했다는 답은 0.3%에 그쳤고, 영향이 없었다는 답은 45.6%였다.
음식점에 흡연실을 설치한 비율은 설치 비용 부담등에 따라 14%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소규모 음식점의 흡연실 설치에 세금을 지원하는 데 찬성하는 비율이 62.2%에 달했고,
음식점주가 금연 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선택적 금연구역 제도`에 찬성하는 비율도 64.2%로 나타났다.
연맹 관계자는 "일방적으로 금연 구역을 지정, 확대하는 것은 영세 사업자와 흡연자, 비흡연자 모두에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면서 "점주의 자율권을 넓히고, 흡연권과 비흡연권의 충돌을 예방하는 방향으로
흡연 구역을 확보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