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오는 2020년까지 전력자립률을 20%까지 달성한다는 목표를 내놨다.
서울시는 2012년 5월부터 시작한 ‘원전하나줄이기’가 당초 목표했던 200만 TOE 만큼의 에너지 절감에 성공하고, 앞으로 에너지 자립도시를 목표로 원전하나줄이기 2 ‘에너지살림도시, 서울’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에너지 자립·나눔·참여 통해, 2020년까지 전력자립률 20%, 온실가스 1천만톤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실현할 4대 정책목표로 `에너지 분산형 생산도시, 효율적 저소비 사회구조, 혁신으로 좋은 에너지 일자리, 따뜻한 에너지 나눔 공동체`로 정하고 이와 관련한 23개 과제 총88개 사업을 전개한다.
누구나 손쉽게 건강하고 깨끗한 전기 생산에 동참할 수 있도록 아파트에서도 쉽게 설치 가능한 베란다용 태양광(250W)을 보급하는 등 올해 8천 가구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매년 1만 가구를 보급해 2018년까지 총 4만호의 미니태양광을 보급한다.
또 강변북로, 세종로, 한강공원 등 도심 곳곳에 태양광 발전 랜드마크를 10개소 조성하고, 구의정수장 등 공공부지를 활용해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할 수 있도록 연 4.0% 이상의 수익률 구조의 ‘햇빛발전 시민펀드’를 오는 10월부터 모집할 계획이다.
건물 에너지진단과 설계기준을 강화하고 도시계획단계부터 에너지를 고려하기로 했다.
연면적 500㎡이상의 민간건축물의 경우 ‘서울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강화를 통하여 2023년까지 제로에너지 설계를 의무화한다.
기존 건물에 대하여는 2018년까지 총 9만동(20년 이상 건축물의 20%)을 목표로 노후건축물의 건물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에너지 소비의 56%를 차지하는 건물 부문과 31%를 차지하는 교통부문에 대한 소비를 줄이는 데 힘을 쏟는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이와함께 대표적인 에너지 절약 시민 참여 프로그램인 ‘에코마일리지’ 회원을 올해 안으로 200만 명까지 확대하고, 2018년까지 280만 명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2012년 5월부터 시작한 ‘원전하나줄이기’가 당초 목표했던 200만 TOE 만큼의 에너지 절감에 성공하고, 앞으로 에너지 자립도시를 목표로 원전하나줄이기 2 ‘에너지살림도시, 서울’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에너지 자립·나눔·참여 통해, 2020년까지 전력자립률 20%, 온실가스 1천만톤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실현할 4대 정책목표로 `에너지 분산형 생산도시, 효율적 저소비 사회구조, 혁신으로 좋은 에너지 일자리, 따뜻한 에너지 나눔 공동체`로 정하고 이와 관련한 23개 과제 총88개 사업을 전개한다.
누구나 손쉽게 건강하고 깨끗한 전기 생산에 동참할 수 있도록 아파트에서도 쉽게 설치 가능한 베란다용 태양광(250W)을 보급하는 등 올해 8천 가구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매년 1만 가구를 보급해 2018년까지 총 4만호의 미니태양광을 보급한다.
또 강변북로, 세종로, 한강공원 등 도심 곳곳에 태양광 발전 랜드마크를 10개소 조성하고, 구의정수장 등 공공부지를 활용해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할 수 있도록 연 4.0% 이상의 수익률 구조의 ‘햇빛발전 시민펀드’를 오는 10월부터 모집할 계획이다.
건물 에너지진단과 설계기준을 강화하고 도시계획단계부터 에너지를 고려하기로 했다.
연면적 500㎡이상의 민간건축물의 경우 ‘서울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강화를 통하여 2023년까지 제로에너지 설계를 의무화한다.
기존 건물에 대하여는 2018년까지 총 9만동(20년 이상 건축물의 20%)을 목표로 노후건축물의 건물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에너지 소비의 56%를 차지하는 건물 부문과 31%를 차지하는 교통부문에 대한 소비를 줄이는 데 힘을 쏟는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이와함께 대표적인 에너지 절약 시민 참여 프로그램인 ‘에코마일리지’ 회원을 올해 안으로 200만 명까지 확대하고, 2018년까지 280만 명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