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투자증권은 28일 두산인프라코어에 대해 하반기에도 상반기만큼 양호한 실적이 기대된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만1000원을 유지했습니다.
하석원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에도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플러스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며 "지난해 3, 4분기 영업이익은 각각 1030억원, 882억원을 기록했으나 올 하반기는 각각 1100억원 내외로 전년대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습니다.
하 연구원은 "이는 밥캣의 호실적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선진국의 공작기계 수요 확대에 따른 높은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있고 G2엔진의 밥캣 탑재 본격화에 따라 엔진 부문의 영업이익 개선 등 긍정적인 요인을 갖췄다"고 분석했습니다.
하 연구원은 "최근 두산그룹의 RCPS(상환전환우선주) 발행 가능성에 주가가 고점 대비 20% 급락했으나 이번 발행과 두산인프라코어는 전혀 무관하며 향후에도 발행계획이 없다"며 "최근 주가하락은 실적 개선세 감안 시 과도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하석원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에도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플러스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며 "지난해 3, 4분기 영업이익은 각각 1030억원, 882억원을 기록했으나 올 하반기는 각각 1100억원 내외로 전년대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습니다.
하 연구원은 "이는 밥캣의 호실적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선진국의 공작기계 수요 확대에 따른 높은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있고 G2엔진의 밥캣 탑재 본격화에 따라 엔진 부문의 영업이익 개선 등 긍정적인 요인을 갖췄다"고 분석했습니다.
하 연구원은 "최근 두산그룹의 RCPS(상환전환우선주) 발행 가능성에 주가가 고점 대비 20% 급락했으나 이번 발행과 두산인프라코어는 전혀 무관하며 향후에도 발행계획이 없다"며 "최근 주가하락은 실적 개선세 감안 시 과도하다"고 판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