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준비생들의 스펙초월 채용에 대한 신뢰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포트폴리오 SNS서비스 웰던투와 함께 취업준비생 884명을 대상으로 `스펙초월 채용`에 대해 설문한 결과 74.4%가 신뢰도가 낮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스펙초월 채용 신뢰도가 낮은 이유는 `실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가 43.3%로 가장 높았고 `기본 스펙은 갖춰져야 지원 자격이 되기 때문`이 40.9%로 뒤를 이었다.
또 다른 스펙을 볼 것 같다거나 평가가 공정하지 않을 것 같다, 대외활동을 많이 한 일부에게만 유리할 것 같다는 의견도 있었다.
취업준비생들은 실제 취업에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로 `스펙 부족`을 꼽았다. 또 업무경력과 면접에서의 실수, 나이가 많아서, 자기소개 등 의견도 뒤따랐다.
한편 취업준비생들이 생각하는 가장 적합한 스펙초월 채용방식은 블라인드 평가가 24.3%로 가장 많았고 실무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전형 도입이 21.7%로 뒤이었다. 또 인턴을 통한 정규직 전환, 스펙 기재란 축소, 면접 기회 증가 등도 의견으로 나왔다.
최창호 잡코리아 사업본부장은 "최근 기업들은 채용시 지원자의 역량과 직무 적합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며 때문에 취업준비생들은 무작정 스펙을 높이려 하기보다 자신의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미리 정리하면 취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포트폴리오 SNS서비스 웰던투와 함께 취업준비생 884명을 대상으로 `스펙초월 채용`에 대해 설문한 결과 74.4%가 신뢰도가 낮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스펙초월 채용 신뢰도가 낮은 이유는 `실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가 43.3%로 가장 높았고 `기본 스펙은 갖춰져야 지원 자격이 되기 때문`이 40.9%로 뒤를 이었다.
또 다른 스펙을 볼 것 같다거나 평가가 공정하지 않을 것 같다, 대외활동을 많이 한 일부에게만 유리할 것 같다는 의견도 있었다.
취업준비생들은 실제 취업에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로 `스펙 부족`을 꼽았다. 또 업무경력과 면접에서의 실수, 나이가 많아서, 자기소개 등 의견도 뒤따랐다.
한편 취업준비생들이 생각하는 가장 적합한 스펙초월 채용방식은 블라인드 평가가 24.3%로 가장 많았고 실무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전형 도입이 21.7%로 뒤이었다. 또 인턴을 통한 정규직 전환, 스펙 기재란 축소, 면접 기회 증가 등도 의견으로 나왔다.
최창호 잡코리아 사업본부장은 "최근 기업들은 채용시 지원자의 역량과 직무 적합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며 때문에 취업준비생들은 무작정 스펙을 높이려 하기보다 자신의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미리 정리하면 취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