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40909/2014090912061280_1_rstarcby.jpg)
지난해 출생 성비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여아 100명당 출생 남아의 수인 출생성비는 지난해 105.3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81년 이후 가장 낮다고 밝혔다.
한국의 출생 성비는 1980년대 초반 107 안팎을 유지하다 1986년 111.7로 올라섰다. 이후 1990년에 116.5로 역대 최고를 기록한 뒤 2000년대 들어 2001년 109.1, 2003년 108.7, 2005년 107.8로 점차 하향 곡선을 그려왔다.
이후에는 2008년 106.4, 2009년 106.4, 2010년 106.9, 2011년 105.7, 2012년 105.7, 2013년 105.3 등 7년 연속으로 정상 성비가 유지되고 있다. 출생 성비가 103∼107 사이면 통상적으로 정상 성비로 평가된다.
한국의 출생 성비는 1990년에 116.5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고 나서 2000년대 들어 점차 하향 곡선을 그리다가 2007년 106.2로 `정상 범위`에 처음 진입했다.
그러나 출산순위별로 보면 셋째아이 이상에서는 성비 불균형이 여전히 남아있어 남자아이가 더 많이 태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연옥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셋째아이 이상 성비가 여전히 높기는 하지만 최근 남아선호사상이 줄면서 전반적으로 성비가 낮아지는 추세"라며 "특히 둘째아의 성비가 가장 낮아 둘째는 오히려 아들보다 딸을 선호하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