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의 전방위 압박과 이사회의 사퇴권고, 노조의 해임 추진 등에도 임영록 회장은 현 시점까지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KB이사회는 당국의 추가 제재와 각종 인허가 유보, 경쟁력 약화 등 부담 요인이 고스란히 KB의 몫으로 전가되고 있다며 17일 이사회에서 해임안 논의 등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16일 KB금융 이사회와 금융지주에 따르면 임영록 회장은 사실상 자진사퇴의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던 오늘(16일)도 외부와 연락을 단절한 채 향후 거취와 관련해 어떤 미동도 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퇴고심을 위한 칩거인 지, 소송 등 장기전을 위한 두문불출인 지 KB 안팎은 혼란스럽기만 합니다.
직무정지 중징계 후 검찰 고발, 고객정보 이관 관련 추가 연계검사, 감독관 파견 등 당국이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고. 이사회마저 자진사퇴를 권고했음에도 아직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KB국민은행 노조가 주주 제안을 통해 회장 해임까지 추진하면서 임영록 회장의 입지가 크게 좁아졌지만 거취는 여전히 오리무중입니다.
이경재 KB금융 이사회 의장은 방금 전 기자와의 통화에서 “현 시점까지도 임영록 회장 측에서 접촉을 해오거나 전화가 오지 않은 상황”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이사회가 회장 본인이 현명한 판단(자진사퇴)을 해줄 것으로 본다고 촉구한 만큼 이사회 차원에서 먼저 연락하거나 접촉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경재 의장은 이어 “내일 긴급 간담회는 이전에 경영현황 보고 등을 위해 잡아 놓은 것이지만 현 시점에서 사안이 중대한 만큼 해임안건을 어떻게 할 지 사외이사들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해임안건이 내일 상정돼 통과되느냐라는 질문에는 “아직 정해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임영록 회장의 입장 표명과 내일 사외이사들의 의견을 전반적으로 수렴해 봐야할 듯 하다”고 말했습니다.
KB금융지주 고위 관계자는 “만일 임영록 회장이 거취와 관련해 결심이 섰다면 상식적으로 이사회 의장이나 사외이사 측에 의견을 전달했을 것”이라며 “아직 고심중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해 거취와 관련한 결정을 내리지 못했거나 기존의 입장과 달라진 게 없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KB금융 이사회의 한 사외이사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아직 이사회로 부터 내일 간담회에서 어떤 안건을 가지고 논의
할 지 통보받거나 전달 받은 게 없다"며 "현장에 가봐야 세부 내용을 알 수 있을 듯 하다"고 말해 이사회 역시 임영록 회장의 공식 입장표명을 기다리며 간담회 또는 이사회 개최 여부를 저울질 중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당국과 KB, 금융권에서는 해임안 상정이 구체화될 가능성이 높은 17일 긴급 KB 이사회 간담회를 앞두고 늦어도 16일 오후까지는 임영록 회장 심경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현시점까지는 변화가 없는 상태입니다.
이사회와 지주, 일부 계열사 경영진의 사퇴권고에도 불구하고 이를 거부하는 한편 아예 소수의 최측근을 제외한 누구와도 연락이 닿지 않아 KB는 현재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며 난감한 상황입니다.
현재 금융지주와 은행이 윤웅원 부사장과 박지우 부행장이 회장과 행장 직무대행을 하며 비상경영체제를 운영중이지만 사실상 구체적인 안을 도출하지 못하고 겉돌고 있어 비상경영체제마저도 불안한 경영공백 상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KB금융지주 고위 관계자와 계열사의 한 대표이사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사실상 앉아 있다가 오는 것과 별반 다를 것이 없다”며 “지배구조가 불안한 상황에서 비상회의에서 할 말도 없고 서로 눈치만 보고 형식적으로 운영되는 측면이 있다”고 말해 사실상 비상경영체제도 실익이 없는 형식적인 절차에 그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인했습니다.
현재 경영공백과 CEO리스크로 야기되는 각종 부담은 고스란히 KB금융과 계열사, 임직원 등 구성원들의 몫입니다.
당국이 고객정보 유출과 관련한 추가 제재 등 또 다른 압박 카드를 준비중인데다, 각 계열사에 감독관을 파견해 대대적인 검사에 나서고 있고 각종 인허가 건에 대한 유보도 불가피해 집니다.
현재 지연중인 해외 지점 설립 건은 차치하더라도 비은행 계열 다각화를 위해 중점 추진중인 LIG손해보험 인수도 불투명해 지거나 아예 불발되는 최악의 상황마저 우려되기 때문입니다.
LIG손보 인수의 대안이 KB뿐이라는 점에서 승인이 설마 안되겠냐는 현실적인 문제를 넘어 금융당국도 리스크 요인을 들어 경영실태평가등급 조정 등 KB의 LIG손보 인수 타당성 여부를 검토중입니다.
지난해말 경영실태평가에서 2등급을 받은 KB가 추가 제재를 받거나 여타 이유로 등급조정이 될 경우 3등급 아래로 떨어지면 LIG손보 인수에 차질이 불가피해 집니다.
여기에다 당국이 임영록 회장의 거취와 관련해 진전이 없을 경우 경영공백 장기화, 경쟁력 훼손 등에 대해 이사회에 배임 등 책임을 묻겠다는 방침이어서 이사회도 임영록 회장의 입장표명 전에 해임안 상정 등 본격 행보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해임안이 상정돼 통과되면 이사회 사외이사 9명으로 회추위를 구성해 내외부 후보군 중 최종 후보를 선정해 차기 회장을 선임하게 됩니다.
회장이 선임되면 이후 선임된 지주 회장과 사외이사 2명 등 3명으로 구성된 대추위를 통해 행장 후보를 뽑게 되지만 최근 회장과 행장간 갈등과 내홍 등을 감안해 겸직을 하는 방안도 심도있게 논의될 전망입니다.
당국과 KB, 금융권 안팎에서는 여타 금융지주와 달리 KB금융이 후계자 양성 프로그램이 없고 회장 선출이 폐쇄적인데다 절차가 취약해 낙하산 우려에 항시 노출돼 있는 만큼 이번 기회를 통해 지배구조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어 당분간 KB 정상화와 지배구조 혼란 수습은 상당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입니다.
KB이사회는 당국의 추가 제재와 각종 인허가 유보, 경쟁력 약화 등 부담 요인이 고스란히 KB의 몫으로 전가되고 있다며 17일 이사회에서 해임안 논의 등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16일 KB금융 이사회와 금융지주에 따르면 임영록 회장은 사실상 자진사퇴의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던 오늘(16일)도 외부와 연락을 단절한 채 향후 거취와 관련해 어떤 미동도 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퇴고심을 위한 칩거인 지, 소송 등 장기전을 위한 두문불출인 지 KB 안팎은 혼란스럽기만 합니다.
직무정지 중징계 후 검찰 고발, 고객정보 이관 관련 추가 연계검사, 감독관 파견 등 당국이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고. 이사회마저 자진사퇴를 권고했음에도 아직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KB국민은행 노조가 주주 제안을 통해 회장 해임까지 추진하면서 임영록 회장의 입지가 크게 좁아졌지만 거취는 여전히 오리무중입니다.
이경재 KB금융 이사회 의장은 방금 전 기자와의 통화에서 “현 시점까지도 임영록 회장 측에서 접촉을 해오거나 전화가 오지 않은 상황”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이사회가 회장 본인이 현명한 판단(자진사퇴)을 해줄 것으로 본다고 촉구한 만큼 이사회 차원에서 먼저 연락하거나 접촉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경재 의장은 이어 “내일 긴급 간담회는 이전에 경영현황 보고 등을 위해 잡아 놓은 것이지만 현 시점에서 사안이 중대한 만큼 해임안건을 어떻게 할 지 사외이사들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해임안건이 내일 상정돼 통과되느냐라는 질문에는 “아직 정해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임영록 회장의 입장 표명과 내일 사외이사들의 의견을 전반적으로 수렴해 봐야할 듯 하다”고 말했습니다.
KB금융지주 고위 관계자는 “만일 임영록 회장이 거취와 관련해 결심이 섰다면 상식적으로 이사회 의장이나 사외이사 측에 의견을 전달했을 것”이라며 “아직 고심중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해 거취와 관련한 결정을 내리지 못했거나 기존의 입장과 달라진 게 없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KB금융 이사회의 한 사외이사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아직 이사회로 부터 내일 간담회에서 어떤 안건을 가지고 논의
할 지 통보받거나 전달 받은 게 없다"며 "현장에 가봐야 세부 내용을 알 수 있을 듯 하다"고 말해 이사회 역시 임영록 회장의 공식 입장표명을 기다리며 간담회 또는 이사회 개최 여부를 저울질 중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당국과 KB, 금융권에서는 해임안 상정이 구체화될 가능성이 높은 17일 긴급 KB 이사회 간담회를 앞두고 늦어도 16일 오후까지는 임영록 회장 심경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현시점까지는 변화가 없는 상태입니다.
이사회와 지주, 일부 계열사 경영진의 사퇴권고에도 불구하고 이를 거부하는 한편 아예 소수의 최측근을 제외한 누구와도 연락이 닿지 않아 KB는 현재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며 난감한 상황입니다.
현재 금융지주와 은행이 윤웅원 부사장과 박지우 부행장이 회장과 행장 직무대행을 하며 비상경영체제를 운영중이지만 사실상 구체적인 안을 도출하지 못하고 겉돌고 있어 비상경영체제마저도 불안한 경영공백 상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KB금융지주 고위 관계자와 계열사의 한 대표이사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사실상 앉아 있다가 오는 것과 별반 다를 것이 없다”며 “지배구조가 불안한 상황에서 비상회의에서 할 말도 없고 서로 눈치만 보고 형식적으로 운영되는 측면이 있다”고 말해 사실상 비상경영체제도 실익이 없는 형식적인 절차에 그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인했습니다.
현재 경영공백과 CEO리스크로 야기되는 각종 부담은 고스란히 KB금융과 계열사, 임직원 등 구성원들의 몫입니다.
당국이 고객정보 유출과 관련한 추가 제재 등 또 다른 압박 카드를 준비중인데다, 각 계열사에 감독관을 파견해 대대적인 검사에 나서고 있고 각종 인허가 건에 대한 유보도 불가피해 집니다.
현재 지연중인 해외 지점 설립 건은 차치하더라도 비은행 계열 다각화를 위해 중점 추진중인 LIG손해보험 인수도 불투명해 지거나 아예 불발되는 최악의 상황마저 우려되기 때문입니다.
LIG손보 인수의 대안이 KB뿐이라는 점에서 승인이 설마 안되겠냐는 현실적인 문제를 넘어 금융당국도 리스크 요인을 들어 경영실태평가등급 조정 등 KB의 LIG손보 인수 타당성 여부를 검토중입니다.
지난해말 경영실태평가에서 2등급을 받은 KB가 추가 제재를 받거나 여타 이유로 등급조정이 될 경우 3등급 아래로 떨어지면 LIG손보 인수에 차질이 불가피해 집니다.
여기에다 당국이 임영록 회장의 거취와 관련해 진전이 없을 경우 경영공백 장기화, 경쟁력 훼손 등에 대해 이사회에 배임 등 책임을 묻겠다는 방침이어서 이사회도 임영록 회장의 입장표명 전에 해임안 상정 등 본격 행보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해임안이 상정돼 통과되면 이사회 사외이사 9명으로 회추위를 구성해 내외부 후보군 중 최종 후보를 선정해 차기 회장을 선임하게 됩니다.
회장이 선임되면 이후 선임된 지주 회장과 사외이사 2명 등 3명으로 구성된 대추위를 통해 행장 후보를 뽑게 되지만 최근 회장과 행장간 갈등과 내홍 등을 감안해 겸직을 하는 방안도 심도있게 논의될 전망입니다.
당국과 KB, 금융권 안팎에서는 여타 금융지주와 달리 KB금융이 후계자 양성 프로그램이 없고 회장 선출이 폐쇄적인데다 절차가 취약해 낙하산 우려에 항시 노출돼 있는 만큼 이번 기회를 통해 지배구조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어 당분간 KB 정상화와 지배구조 혼란 수습은 상당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