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부동산 대책 발표가 잇따르며 기대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아파트 매매가격도 12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5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9% 상승했다.
재정비 규제 합리화 등을 포함하는 `9.1 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재건축 수혜단지를 중심으로 매도인들의 매물회수와 호가상승 움직임이 나타났다.
다만 단기 급등에 부담을 느낀 매수인의 관망세와 추석 연휴 기간 등의 영향으로 거래는 한산한 모습을 보였다.
수도권(0.12%)은 경기가 비교적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11주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으며, 지방(0.06%)에서는 혁신도시 개발지역이나 산업체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꾸준한 상승세가 이어졌다.
시도별로는 제주(0.25%), 경기(0.15%), 충북(0.14%), 경남(0.12%), 대구(0.09%), 서울(0.09%), 충남(0.09%) 등은 상승했고, 세종(-0.13%), 전남(-0.11%) 등은 하락했다.
서울(0.09%)은 강북(0.10%)지역의 상승폭이 확대됐지만, 강남(0.09%)지역의 오름폭이 축소되며 전반적인 상승세가 둔화됐다.
강남은 오름세가 지난주 0.19%에서 이번주 0.09%로 절반 정도로 뚝 떨어졌다.
김세기 한국감정원 주택통계부장은 "호가 상승하면서 가격 공백이 생겨 매수세가 주춤해졌다"며 "매도인이 매물도 회수를 하고 호가 공백 생기니깐 매수인이 주춤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지난주 0.10%였던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폭은 이번주 0.12%로 커졌다.
가을 이사철을 맞이하여 근로자 및 신혼부부 수요 등이 증가하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확대된 모습이다.
수도권(0.18%)에서는 매물이 부족한 오산, 수원, 화성 등을 중심으로 경기가 상승을 주도하며 18주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
시도별로는 경기(0.24%), 충북(0.21%), 제주(0.18%), 인천(0.12%), 서울(0.11%), 충남(0.11%), 경북(0.10%) 등은 상승했고, 세종(-1.03%), 전남(-0.04%) 등은 하락했다.
서울(0.11%)은 강북(0.10%)지역과 강남(0.12%)지역 모두 상승폭이 확대되며 14주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5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9% 상승했다.
재정비 규제 합리화 등을 포함하는 `9.1 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재건축 수혜단지를 중심으로 매도인들의 매물회수와 호가상승 움직임이 나타났다.
다만 단기 급등에 부담을 느낀 매수인의 관망세와 추석 연휴 기간 등의 영향으로 거래는 한산한 모습을 보였다.
수도권(0.12%)은 경기가 비교적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11주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으며, 지방(0.06%)에서는 혁신도시 개발지역이나 산업체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꾸준한 상승세가 이어졌다.
시도별로는 제주(0.25%), 경기(0.15%), 충북(0.14%), 경남(0.12%), 대구(0.09%), 서울(0.09%), 충남(0.09%) 등은 상승했고, 세종(-0.13%), 전남(-0.11%) 등은 하락했다.
서울(0.09%)은 강북(0.10%)지역의 상승폭이 확대됐지만, 강남(0.09%)지역의 오름폭이 축소되며 전반적인 상승세가 둔화됐다.
강남은 오름세가 지난주 0.19%에서 이번주 0.09%로 절반 정도로 뚝 떨어졌다.
김세기 한국감정원 주택통계부장은 "호가 상승하면서 가격 공백이 생겨 매수세가 주춤해졌다"며 "매도인이 매물도 회수를 하고 호가 공백 생기니깐 매수인이 주춤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지난주 0.10%였던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폭은 이번주 0.12%로 커졌다.
가을 이사철을 맞이하여 근로자 및 신혼부부 수요 등이 증가하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확대된 모습이다.
수도권(0.18%)에서는 매물이 부족한 오산, 수원, 화성 등을 중심으로 경기가 상승을 주도하며 18주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
시도별로는 경기(0.24%), 충북(0.21%), 제주(0.18%), 인천(0.12%), 서울(0.11%), 충남(0.11%), 경북(0.10%) 등은 상승했고, 세종(-1.03%), 전남(-0.04%) 등은 하락했다.
서울(0.11%)은 강북(0.10%)지역과 강남(0.12%)지역 모두 상승폭이 확대되며 14주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