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지수 평가를 받는 대기업들은 이 제도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보면서도 평가방식을 업종별·규모별로 달리 적용하는 등 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력센터는 2013년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인 100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한 결과, 현행 동반성장지수 제도가 대기업의 협력사 지원확대를 늘렸다는데 77.3%가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또 동반성장의 추진틀을 마련하고 인식을 확산했다는데에도 79.4%가, 하도급 공정거래 제도를 정비하고 이행수준을 높였다는데 67.2%가 공감을 나타냈습니다.
그러나 이 제도 시행으로 협력사의 경영성과를 개선시키고 경쟁력을 높였다는데에는 40.7%만이 동의했습니다.
기업들은 현행 제도의 문제점으로는 기업의 부담은 크지만 인센티브가 미흡해 자발적인 참여를 유인할 요인이 부족하다(88.7%)는 점을 가장 많이 꼽았고 기업의 현실과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85.7%), 중소기업의 자생력 강화노력을 측정할 장치가 없다(78.6%)는 점을 그 다음으로 꼽았습니다.
이에 따라 제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응답기업의 47.1%가 평가방식을 업종별·규모별로 달리 적용할 것을, 40.0%는 상대평가를 절대평가로 바꾸고 상위평가 기업만 발표할 것을 주장했습니다.
현행 지수평가의 틀을 유지해도 무방하다는 응답은 4.3%에 그쳤습니다.
양금승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은 "산업생태계 전반으로 동반성장의 문화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기업현실과 역량에 따라 차등화하고 기업의 자발성과 창의성을 이끌어내는 방향으로 동반성장 평가 체계를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력센터는 2013년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인 100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한 결과, 현행 동반성장지수 제도가 대기업의 협력사 지원확대를 늘렸다는데 77.3%가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또 동반성장의 추진틀을 마련하고 인식을 확산했다는데에도 79.4%가, 하도급 공정거래 제도를 정비하고 이행수준을 높였다는데 67.2%가 공감을 나타냈습니다.
그러나 이 제도 시행으로 협력사의 경영성과를 개선시키고 경쟁력을 높였다는데에는 40.7%만이 동의했습니다.
기업들은 현행 제도의 문제점으로는 기업의 부담은 크지만 인센티브가 미흡해 자발적인 참여를 유인할 요인이 부족하다(88.7%)는 점을 가장 많이 꼽았고 기업의 현실과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85.7%), 중소기업의 자생력 강화노력을 측정할 장치가 없다(78.6%)는 점을 그 다음으로 꼽았습니다.
이에 따라 제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응답기업의 47.1%가 평가방식을 업종별·규모별로 달리 적용할 것을, 40.0%는 상대평가를 절대평가로 바꾸고 상위평가 기업만 발표할 것을 주장했습니다.
현행 지수평가의 틀을 유지해도 무방하다는 응답은 4.3%에 그쳤습니다.
양금승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은 "산업생태계 전반으로 동반성장의 문화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기업현실과 역량에 따라 차등화하고 기업의 자발성과 창의성을 이끌어내는 방향으로 동반성장 평가 체계를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