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벤 치약 해명 논란' 파라벤, 성조숙증까지?…어린이치약, 구강티슈보다 '무려 20배?'

입력 2014-10-06 17:31  






파라벤 치약 논란 해명 어린이 치약 구강티슈

`파라벤 치약 해명 논란` 파라벤, 성조숙증까지?…어린이치약, 구강티슈보다 `무려 20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파라벤 치약 논란 해명`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의 불안이 가라앉지 않고 있는 가운데, 어린이용 치약에 대한 파라벤 허용 기준치가 논란이 되고 있다.

6일 새정치민주연합 김용익 의원실에 따르면 `구강 티슈 의 파라벤 허용 기준치는 `0.01% 이하`인 반면에 어린이용 치약은 `0.2% 이하`로 무려 20배나 높게 설정되어 있다는 점이 문제다.


어린이용 치약의 파라벤 허용기준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는 어린이용 치약이 피부에 바르거나 씻어내는 ‘외용제’ 기준을 적용받기 때문이다. 구강티슈는 먹는 ‘내용제’ 기준을 적용 받기 때문에 파라벤 허용 기준치가 낮다.


구강티슈의 경우 2011년 의약외품으로 지정된 이후 지난해 3월 안전성 확보 차원에서 보존제 허용 범위를 먹는 `내용제` 수준인 0.01%로 낮춘 반면, 어린이용 치약을 포함한 치약류는 `외용제`로 1995년 이후 줄곧 같은 기준을 적용받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김용익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식약처에 허가 받은 어린이용 치약 가운데 파라벤이 함유된 제품은 모두 86개 제품으로, 최근 2년간 1천200만개가 생산돼 유통됐다.

한편 파라벤은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의 보존제로 널리 쓰이는 성분이다.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하게 작용해 유방암 발생의 원인이 되거나 남성생식기에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일부 연구결과가 공개되며 유해 논란이 일고 있다.


또한 성장기 어린이의 미성숙이나 성조숙증 등을 유발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라벤은 성인보다 영유아와 어린이에게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덴마크는 3세이하에 파라벤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EU소비자안전위원회는 6개월 이하에 사용금지를 권고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기관인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2013년에 공개한 ‘어린이계층의 파라벤류 바이오모니터링’ 보고서에 따르면, 분석 대상자 1021명의 거의 모든 소변에서 파라벤이 검출됐고 연령별로는 3~6세에서 월등히 높게 검출됐다.


김용익 의원은 “구강티슈와 치약은 같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치약의 파라벤 허용기준치가 과도하게 높게 설정돼 있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어린이용치약에 대해서는 파라벤 허용기준치를 구강티슈와 같은 수준으로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라벤 치약 논란 해명 어린이 치약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파라벤 치약 논란 해명, 어린이 치약도 내용제의 파라벤 허용치 기준에 따라야하지 않을까?", " 파라벤 치약 논란 해명, 성인보다 영유아, 어린이에게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다니... 어린 자녀 둔 부모님들 걱정이 하나 더 늘었네", "파라벤 치약 논란 해명, 어린이 치약에 구강티슈보다 파라벤이 많이 들어있다고? 빨리 시정해야 할 듯"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사진= 방송화면 캡쳐)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