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부산 해운대구 송정에 위치한 KT부산국제센터에서 세계 최대 국제 해저통신망을 운용하는 통합관제센터 `APG NOC(Asia Pacific Gateway Network Operation Center)`의 문을 열었다고 21일 밝혔다.
오는 2015년 말 구축 완료 예정인 국제 케이블(APG)은 최대 수심 6000m, 총 길이 약 1만1000km의 국제 해저광케이블로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 등 아시아 9개국을 연결한다.
APG 구축으로 동북아시아 인터넷 이용자들이 유통하는 다양한 콘텐츠와 정보를 실어 나르는 새로운 바닷길이 생겨난 것이다.
인터넷월드스태츠가 지난해 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APG 9개국의 인터넷 가입자는 9억명으로 아시아 전체 13억 가입자의 69%, 전 세계 28억명 가입자의 32%를 점유하고 있다.
APG 구축에는 한국 KT, 중국 CM(China Mobile)·CU(China Unicom)·CT(China Telecom), 일본 NTT, 싱가포르 스타허브, 미국 페이스북 등 9개국 13개 통신 사업자가 참여한다.
KT는 국제 케이블 운용 리더로서 통합관제센터 개소를 시작으로 아시아 9개국 간 국제 해저케이블 네트워크 구성과 운용, 해저케이블 장애 시 회선 복구 등을 총괄한다.
APG 구축이 완료되면 KT는 전 세계 280여개 국제 해저케이블 중 세계 최대 전송용량(38.4Tbps)의 해저통신망을 운용하게 된다. 이론적으로 대한민국 인구 500만명이 동시에 HD화질(7Mbps)의 영상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고, 700MByte 용량의 영화를 1초에 무려 7000편 전송할 수 있게 된다.
KT는 국제 해저통신분야에서 아시아를 넘어 태평양까지 진출할 계획이다. KT는 아시아 지역과 북미간 급증하는 국제통신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 일본, 대만, 미국을 연결하는 총 1만4000Km에 달하는 해저광케이블 NCP(New Cross Pacific)를 구축한다. NCP는 오는 2017년 말에 개통돼 서비스될 예정이다.
오는 2015년 말 구축 완료 예정인 국제 케이블(APG)은 최대 수심 6000m, 총 길이 약 1만1000km의 국제 해저광케이블로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 등 아시아 9개국을 연결한다.
APG 구축으로 동북아시아 인터넷 이용자들이 유통하는 다양한 콘텐츠와 정보를 실어 나르는 새로운 바닷길이 생겨난 것이다.
인터넷월드스태츠가 지난해 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APG 9개국의 인터넷 가입자는 9억명으로 아시아 전체 13억 가입자의 69%, 전 세계 28억명 가입자의 32%를 점유하고 있다.
APG 구축에는 한국 KT, 중국 CM(China Mobile)·CU(China Unicom)·CT(China Telecom), 일본 NTT, 싱가포르 스타허브, 미국 페이스북 등 9개국 13개 통신 사업자가 참여한다.
KT는 국제 케이블 운용 리더로서 통합관제센터 개소를 시작으로 아시아 9개국 간 국제 해저케이블 네트워크 구성과 운용, 해저케이블 장애 시 회선 복구 등을 총괄한다.
APG 구축이 완료되면 KT는 전 세계 280여개 국제 해저케이블 중 세계 최대 전송용량(38.4Tbps)의 해저통신망을 운용하게 된다. 이론적으로 대한민국 인구 500만명이 동시에 HD화질(7Mbps)의 영상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고, 700MByte 용량의 영화를 1초에 무려 7000편 전송할 수 있게 된다.
KT는 국제 해저통신분야에서 아시아를 넘어 태평양까지 진출할 계획이다. KT는 아시아 지역과 북미간 급증하는 국제통신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 일본, 대만, 미국을 연결하는 총 1만4000Km에 달하는 해저광케이블 NCP(New Cross Pacific)를 구축한다. NCP는 오는 2017년 말에 개통돼 서비스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