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발 증시특급]
- 마켓 진단
출연 : 박종연 우리투자증권 채권전략팀 팀장
금통위 통화정책 예상 시나리오
2기 경제팀이 출범한 이후에 여러 가지 강한 경기부양책들이 나왔다. 7월 말 이후에 41조 원 플러스 알파의 재정정책을 내놓았고, 한국은행도 2차례의 금리인하를 하면서 지금 한국 정부는 적극적인 재정통화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것들이 과연 얼만큼 하강하는 경기를 상승세로 견인할 수 있느냐다. 한국 경제의 흐름은 국내적인 부분보다는 대외변수에 달려 있다. 일단 한국 정부가 할 수 있는 정책들을 연내에는 다 했다고 볼 수 있겠는데 이 정책의 효과가 얼마나 날 것인지는 대외경제 여건에 달려있다. 그래서 최근 나타나고 있는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를 감안해 보면 제대로 효과를 못 낼 가능성이 있다. 그로 인해 추가적인 경기부양책이 또 나와야 될 가능성이 있다.
기준금리 연 2.0% ·· 적정금리 하한선 논란
지금 기준금리가 2.0%다. 이 금리는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터진 이후로 신용경색을 완화시키겠다고 사상최저로 내렸던 수준과 똑같다. 적정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요인에는 단순히 성장률만 있는 것이 아니다. 물가도 있고, 글로벌 통화정책 관점에서 다른 나라의 통화정책이 어떻게 전개되는지의 상대적인 가치도 중요하다. 그런데 현재 상황을 보면 2009년에 2%와 지금의 2%는 경제 환경이 다르다. 당시에는 성장률은 낮았지만 물가가 3%에 육박했지만 지금 우리나라의 물가는 초저물가다. 그래서 지금의 기준금리 2%가 어느 정도 정당화될 수 있다.
대내외 금리차 축소, 자본 유출 우려 가능성은
모든 정책에는 득과 실이 있다. 그래서 득을 최대화하고, 실을 최소화 시키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금리인하를 통한 가계부채의 확대 효과는 분명히 있다. 특히 정부의 부동산 대출규제완화와 함께 최근에 부채가 늘어나는 모습이 눈에 보인다. 이거는 보면 미시적인 대책과 함께 취급해야 한다고 본다. 즉, 금리를 낮추면서 기존 대출자들에게는 가계 부채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는 대신에 신규 대출자에게는 여러 가지 규제를 하는 등의 형태로 과도하게 부채가 늘어나는 것을 막는 미시적인 대책이 함께 어우러져야겠다.
대부분의 나라들이 금리를 낮추고 있고, 그보다 더 적극적으로 통화를 완화하고 있기 때문에 원화의 상대적인 절상 압력이 지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자금이 이탈할 것이라는 건 기우에 불과한 것 같다.
10월 FOMC회의 관전 포인트
10월 말 FOMC에서는 양적완화 종료가 높게 평가가 되고 있다. 최근 일각에서는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니까 양적완화 종료를 연기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연준 입장에서는 9월 FOMC에서 웬만하면 10월에 끝내겠다고 선언을 한 상황이기 때문에 더 큰 쇼크가 오기 전에는 양적완화는 끝낼 것 같다.
결국 미국경제, 글로벌경제가 양적완화라고 하는 유동성 공급 없이도 홀로서기를 계속 할 수 있겠느냐, 위험자산이 계속 모멘텀을 받을 수 있겠느냐의 관점에서 생각을 해봐야겠다. 그런데 최근의 흐름을 보면 유럽을 중심으로 디플레이션 우려,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또한 미국의 경기회복 속도도 3분기부터는 완만하게 둔화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상태에서 양적완화가 끝나버리면 홀로서기를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의구심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실제 경기흐름들이 회복세를 보이기 전까지는 오히려 금융시장에서는 위험자산에서는 다소 조정 압력이 우세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오히려 이에 대한 반사효과로 안전자산은 혜택을 받을 수 있겠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참고하세요]
★ 출발 증시 특급, 평일 오전 8시~10시 L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