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고가주택의 매매와 임대 중개수수료가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가 매매 6억원, 임대 3억원 구간대에 수수료 체계를 조정하기로 한건데, 사전 조율없이 무리하게 추진하다 보니 반발이 만만치 않습니다.
보도에 신용훈 기자입니다.
<기자> 현재 0.9%로 일괄적용 돼온 6억원 이상 주택의 매매 중개 수수료.
하지만 앞으로 6억원 이상~9억원 미만은 0.5% 이하만 내면 됩니다.
9억원 이상만 지금처럼 최대 0.9%의 수수료가 적용되는 겁니다
이 밖에 6억원 미만 주택도 기존 0.4~0.6%의 수수료율이 유지됩니다.
임대 거래의 경우 기존 3억원 이상은 0.8% 이하로 돼있던 수수료체계가 3억원 이상~6억원 미만은 0.4% 이하로, 6억원 이상은 0.8%로 세분화됩니다.
지금은 없는 매매 6~9억원, 임대차 3~6억원 구간에 대한 부동산 중개 수수료율이 신설되는 겁니다.
여기에 0.9%를 받아오던 오피스텔 중개수수료도 주거형에 한해 매매는 0.5% 임대는 0.4%로 낮아집니다.
국토부는 다음 달부터 법령개정에 들어간다는 계획이지만 부동산 업계의 반발로 계획대로 추진되긴 쉽지 않아 보입니다.
공인중개사협회는 정부안이 현실과 맞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이우성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부회장
"정부에서는 주거형 오피스텔을 주택 외로 인정을 하고 취득세를 부과해요.
정부에서조차 주택외로 취급하면서 공인중개사 보수는 주택으로 취급으로 하라고 하면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얘기죠."
또 주택 매매가격이 크다고 수수료를 적게 받으라는 것은 누진세 원칙에도 어긋난다는 주장입니다.
공인중개사들의 반발로 오늘 열릴 예정이던 공청회도 무산되면서 정부의 부동산 중개수수료율 개편 계획은 원점으로 돌아갔습니다.
한국경제TV 신용훈입니다.
정부가 매매 6억원, 임대 3억원 구간대에 수수료 체계를 조정하기로 한건데, 사전 조율없이 무리하게 추진하다 보니 반발이 만만치 않습니다.
보도에 신용훈 기자입니다.
<기자> 현재 0.9%로 일괄적용 돼온 6억원 이상 주택의 매매 중개 수수료.
하지만 앞으로 6억원 이상~9억원 미만은 0.5% 이하만 내면 됩니다.
9억원 이상만 지금처럼 최대 0.9%의 수수료가 적용되는 겁니다
이 밖에 6억원 미만 주택도 기존 0.4~0.6%의 수수료율이 유지됩니다.
임대 거래의 경우 기존 3억원 이상은 0.8% 이하로 돼있던 수수료체계가 3억원 이상~6억원 미만은 0.4% 이하로, 6억원 이상은 0.8%로 세분화됩니다.
지금은 없는 매매 6~9억원, 임대차 3~6억원 구간에 대한 부동산 중개 수수료율이 신설되는 겁니다.
여기에 0.9%를 받아오던 오피스텔 중개수수료도 주거형에 한해 매매는 0.5% 임대는 0.4%로 낮아집니다.
국토부는 다음 달부터 법령개정에 들어간다는 계획이지만 부동산 업계의 반발로 계획대로 추진되긴 쉽지 않아 보입니다.
공인중개사협회는 정부안이 현실과 맞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이우성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부회장
"정부에서는 주거형 오피스텔을 주택 외로 인정을 하고 취득세를 부과해요.
정부에서조차 주택외로 취급하면서 공인중개사 보수는 주택으로 취급으로 하라고 하면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얘기죠."
또 주택 매매가격이 크다고 수수료를 적게 받으라는 것은 누진세 원칙에도 어긋난다는 주장입니다.
공인중개사들의 반발로 오늘 열릴 예정이던 공청회도 무산되면서 정부의 부동산 중개수수료율 개편 계획은 원점으로 돌아갔습니다.
한국경제TV 신용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