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전시는 일제강점기 박물관이 수집한 아시아 문화유산이 갖는 의미와 수집 및 전시의 역사를 돌아보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이번 특별전은 제목처럼 `동양`이란 단어의 궤적을 찾아가듯이 일제강점기 모인 아시아 문화유산이 갖고 있는 내력에 주목한다. 근대화에 성공한 일본은 스스로를 `동양 유일의 문명국`으로 여겼고 `낙후된` 동양을 문명세계로 인도할 적임자라 자부했다.
일본이 승자의 시선을 바탕으로 조선총독부박물관, 이왕가박물관 미술관에 수집한 문화재를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그 가운데 우리나라를 제외한 아시아 지역의 문화재는 1600여 건으로 중국 한나라 고분 출토품부터 근대 일본미술까지 종류도 다양하다.
각 단락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제1부 “동아시아의 고대: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는 조선총독부박물관이 중국 베이징(北京), 만주, 일본 규슈(九州) 등에서 수집한 문화재를 전시한다.
제2부 “서역 미술: 조선총독부박물관 경복궁 수정전”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중앙아시아 소장품에 담겨있는 역사를 소개한다.
제3부 “불교조각: 이왕가박물관 창경궁 명정전”에서는 이왕가박물관에서 수집한 중국불교조각을 살펴본다.
제4부 “일본근대미술: 이왕가미술관 덕수궁 석조전”에서는 이왕가미술관에서 수집하고 전시했던 일본근대미술을 통해 그것이 갖는 의미를 돌아본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번 전시에 출품된 문화재 및 참고자료를 포함해 148매의 도판이 수록된 이번 전시도록은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과 공공누리를 통해 누구나 내려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