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들은 직업을 선택할 때 `직업의 안정성`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05개 직업군의 성인 재직 근로자 3,148명을 상대로 직업가치관 검사를 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직업가치관 검사는 성취, 봉사, 직업안정 등 직업선택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13가지 항목에 대한 개인의 중요도를 측정한 것.
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성인 근로자들은 직업선택에서 직업안정을 가장 중시하고,
몸과 마음의 여유(2순위), 성취(3순위), 금전적 보상(4순위) 등에도 높은 점수를 줬다.
2004년에 실시한 같은 조사에서 이번에 1순위에 오른 `직업안정`은 3순위였고 `몸과 마음의 여유`는 2순위였다.
`금전적 보상`은 10년 전에 7순위였지만 이번엔 4순위로 올라갔고, 10년 전에 1순위였던 `성취`는 3순위로 내려앉았다.
`봉사`나 `애국`은 10년 전보다 더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2004년도 조사와 비교할 때 `봉사`는 10순위에서 11순위로, `애국`은 11순위에서 13순위로 각각 하락한 것.
결론적으로 자신의 일을 통해 타인이나 국민에게 기여하고자 하는 동기는 낮아지고 있는 반면 안정,
몸과 마음의 여유로움을 중시하는 경향은 더 높아졌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직업 가치관을 연령별로 비교해도, 취업자들은 나이와 상관없이 대부분 `직업안정`과 `몸과 마음의 여유`를
직업 선택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했다.
다만, 청년층은 `애국` 요인을 직업선택 시 가장 덜 중요(13순위)하다고 여겼지만,
40대와 50대는 `애국`을 각각 9순위와 10순위로 꼽았다.
나이가 많을수록 직업 선택 때 국가나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지를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는 의미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05개 직업군의 성인 재직 근로자 3,148명을 상대로 직업가치관 검사를 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직업가치관 검사는 성취, 봉사, 직업안정 등 직업선택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13가지 항목에 대한 개인의 중요도를 측정한 것.
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성인 근로자들은 직업선택에서 직업안정을 가장 중시하고,
몸과 마음의 여유(2순위), 성취(3순위), 금전적 보상(4순위) 등에도 높은 점수를 줬다.
2004년에 실시한 같은 조사에서 이번에 1순위에 오른 `직업안정`은 3순위였고 `몸과 마음의 여유`는 2순위였다.
`금전적 보상`은 10년 전에 7순위였지만 이번엔 4순위로 올라갔고, 10년 전에 1순위였던 `성취`는 3순위로 내려앉았다.
`봉사`나 `애국`은 10년 전보다 더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2004년도 조사와 비교할 때 `봉사`는 10순위에서 11순위로, `애국`은 11순위에서 13순위로 각각 하락한 것.
결론적으로 자신의 일을 통해 타인이나 국민에게 기여하고자 하는 동기는 낮아지고 있는 반면 안정,
몸과 마음의 여유로움을 중시하는 경향은 더 높아졌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직업 가치관을 연령별로 비교해도, 취업자들은 나이와 상관없이 대부분 `직업안정`과 `몸과 마음의 여유`를
직업 선택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했다.
다만, 청년층은 `애국` 요인을 직업선택 시 가장 덜 중요(13순위)하다고 여겼지만,
40대와 50대는 `애국`을 각각 9순위와 10순위로 꼽았다.
나이가 많을수록 직업 선택 때 국가나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지를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