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의 직업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어 그 내용이 화제가 되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2004년과 2014년 직업가치관 검사를 2차례 진행했고, 그 결과 직업에 대한 근로자들의 인식 변화가 확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효남 고용정보원 전임연구원은 "계약직이 늘고 40∼50대 조기퇴직이 증가하는 등 고용환경이 변하면서 구직자들이 안정된 직업을 가지려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과도한 경쟁보다 몸과 마음이 여유로운 근로 환경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2004년에 한 같은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이번에 1순위에 오른 `직업안정`은 10년 전에는 3순위였으며 `몸과 마음의 여유`는 10년 전에도 2순위였다.
`금전적 보상`은 10년 전에 7순위였지만 이번엔 4순위로 올라갔고, 10년 전에 1순위였던 `성취`는 3순위로 내려앉았다. `봉사`나 `애국`은 10년 전보다 더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2004년도 조사와 비교할 때 `봉사`는 10순위에서 11순위로, `애국`은 11순위에서 13순위로 각각 하락했다.
이는 자신의 일을 통해 타인이나 국민에게 기여하고자 하는 동기는 낮아지고 있는 반면 안정, 몸과 마음의 여유로움을 중시하는 경향은 더 높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직업 가치관을 연령별로 비교해도, 취업자들은 나이와 상관없이 대부분 `직업안정`과 `몸과 마음의 여유`를 직업 선택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했다.
다만, 청년층은 `애국` 요인을 직업선택 시 가장 덜 중요(13순위)하다고 여겼지만, 40대와 50대는 `애국`을 각각 9순위와 10순위로 꼽았다.
나이가 많을수록 직업 선택 때 국가나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지를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는 의미다.
이효남 고용정보원 전임연구원은 그러면서 "개인의 직업가치가 충족될 때 직무만족과 성과도 높아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기업과 정부 등은 고용안정과 정년보장, 일과 가정의 양립이 가능한 근로환경 조성 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누리꾼들은 "직업 선택 요소 1위 의외네" "직업 선택 요소 1위 공감한다" "직업 선택 요소 1위 충격적인데" "직업 선택 요소 1위 돈이 우선일 줄 알았는데" "직업 선택 요소 1위 역시 안전성이 높은 점수네" "직업 선택 요소 1위 맞아요"등의 반응을 보였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