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41030/B20141030100959353.jpg)
고려 물시계 `루상수`의 존재를 규명했다는 소식이 전해져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27일 전남대학교는 조선 세종 시기 자격궁루(自擊宮漏)가 만들어지기 이전까지 사용됐던 고려 물시계의 존재를 규명한 사학과 박사과정 서금석 씨의 논문을 공개했다.
논문에 따르면 고려 물시계 이름은 `루상수(漏上水)`였으며 궁루(宮漏)·금루(禁漏)·은루(銀漏) 등으로 불렸다. 서 씨는 "고려사 연구 도중 당시 쓰였던 물시계를 언급한 자료를 확인해 고려시대 물시계 이름을 밝혀냈다"고 말했다.
고려 물시계는 당시 왕실 등에서 비교적 폭넓게 사용됐는데 지금은 그 형태나 이름에 관해 남아 있는 사료가 거의 없다.
서씨는 이어 “물시계가 단순히 시간만 알려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회를 규율하고 지배하는 통치수단으로 활용됐다는 점에서 그 이름을 명확히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논문은 고려 물시계의 이름을 정확히 밝혔을 뿐 아니라, 고려 물시계 `루상수`가 시계의 기능은 물론 사회의 통치 수단으로 활용됐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서금석 씨의 이번 논문은 최근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지인 `한국사연구`에 실렸다.
고려 물시계의 존재 규명으로 학계에서 보다 폭넓은 연구가 뒤따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소식에 누리꾼들은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이름이 루상수였구나 이름찾았네",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시계 아니었어? 통치수단이었구나",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대단하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사진=방송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