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홀몸어르신의 고립감을 해소하고 대학생에게 주변 임대료보다 저렴한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1·3세대 융합형인 룸쉐어링 사업을 확대 시행한다.
서울시는 노원구, 서대문구, 광진구에서 운영해 오던 룸쉐어링 사업방식을 개선해 임대료를 월 20만원 이하로 정하고, 주거환경개선 비용도 50만원까지 지원하며, 거주기간도 기존 6개월에서 1년으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서울시에서 공급하는 첫 시범사업으로 고려대, 성신여대, 한성대, 동덕여대, 국민대, 서경대 등의 대학이 소재한 성북구에 50호를 공급한다.
이에따라 성북구내 룸쉐어링 사업의 대상자는 성북구 내에 주택을 소유하신 65세 이상의 어르신과 본인과 부모의 월평균 소득 100% 이하의 무주택자인 성북구 소재 대학의 학생·휴학생이다.
11월부터 중순부터 성북구내 희망자를 접수하고, 대학생들이 학기 전에 입주할 수 있도록 내년 2월까지 도배·장판 등 환경개선 공사를 모두 완료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향후 25개 자치구의 수요조사를 시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5년부터는 자치구의 수요를 고려해 서울 전역으로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노원구, 서대문구, 광진구에서 운영해 오던 룸쉐어링 사업방식을 개선해 임대료를 월 20만원 이하로 정하고, 주거환경개선 비용도 50만원까지 지원하며, 거주기간도 기존 6개월에서 1년으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서울시에서 공급하는 첫 시범사업으로 고려대, 성신여대, 한성대, 동덕여대, 국민대, 서경대 등의 대학이 소재한 성북구에 50호를 공급한다.
이에따라 성북구내 룸쉐어링 사업의 대상자는 성북구 내에 주택을 소유하신 65세 이상의 어르신과 본인과 부모의 월평균 소득 100% 이하의 무주택자인 성북구 소재 대학의 학생·휴학생이다.
11월부터 중순부터 성북구내 희망자를 접수하고, 대학생들이 학기 전에 입주할 수 있도록 내년 2월까지 도배·장판 등 환경개선 공사를 모두 완료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향후 25개 자치구의 수요조사를 시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5년부터는 자치구의 수요를 고려해 서울 전역으로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