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제약업계가 각종 규제로 내수 시장에서 허리를 펴지 못하고 있는데요.
부진한 3분기를 딛고 해외 시장에 집중해 실적 반등을 꾀하고 있습니다.
임동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국내 주요 제약사들의 3분기는 부진했습니다.
유한양행과 보령제약은 호실적을 보인 반면 대웅제약과 동아ST, 한미약품 등 전통 강자들은 영업이익이 최대 92% 감소했습니다.
지난 7월부터 시행된 리베이트 투아웃제와 보다 강화된 공정경쟁규약프로그램의 도입 등으로 마케팅 활동이 축소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됩니다.
하지만 제약사들은 반등을 노리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 시장 공략을 강화해 실적 개선을 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지현 키움증권 연구원
“내수쪽 보다는 해외 쪽을 보는 것이 맞는 것 같다. 뭐가 실적이 더 좋냐 보다는 누가 해외쪽에 많이 진출하고 그에 대한 레버리지가 크냐가 중요한 것 같다.”
대웅제약은 주름개선제 나보타 등 신제품을 포함한 자체 의약품들의 해외 수출이 가시화 되고 있어 실적 회복이 예상됩니다.
한미약품의 경우 당뇨신약에 대한 대규모 R&D 투자로 장기적인 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3분기 111%의 영업이익 증가를 보인 보령제약은 고혈압 신약 ‘카나브’의 해외 매출이 본격화 됨에 따라 계속적인 성장이 전망됩니다.
업계 1위인 유한양행도 의약품 생산대행 확대 등에 힘입어 제약업계 최초 연 매출 1조원 달성이 주목됩니다.
전문가들은 제약업계의 의약품 수출이 안정되는 내년 상반기 이후에나 성장률을 회복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임동진입니다.
제약업계가 각종 규제로 내수 시장에서 허리를 펴지 못하고 있는데요.
부진한 3분기를 딛고 해외 시장에 집중해 실적 반등을 꾀하고 있습니다.
임동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국내 주요 제약사들의 3분기는 부진했습니다.
유한양행과 보령제약은 호실적을 보인 반면 대웅제약과 동아ST, 한미약품 등 전통 강자들은 영업이익이 최대 92% 감소했습니다.
지난 7월부터 시행된 리베이트 투아웃제와 보다 강화된 공정경쟁규약프로그램의 도입 등으로 마케팅 활동이 축소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됩니다.
하지만 제약사들은 반등을 노리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 시장 공략을 강화해 실적 개선을 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지현 키움증권 연구원
“내수쪽 보다는 해외 쪽을 보는 것이 맞는 것 같다. 뭐가 실적이 더 좋냐 보다는 누가 해외쪽에 많이 진출하고 그에 대한 레버리지가 크냐가 중요한 것 같다.”
대웅제약은 주름개선제 나보타 등 신제품을 포함한 자체 의약품들의 해외 수출이 가시화 되고 있어 실적 회복이 예상됩니다.
한미약품의 경우 당뇨신약에 대한 대규모 R&D 투자로 장기적인 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3분기 111%의 영업이익 증가를 보인 보령제약은 고혈압 신약 ‘카나브’의 해외 매출이 본격화 됨에 따라 계속적인 성장이 전망됩니다.
업계 1위인 유한양행도 의약품 생산대행 확대 등에 힘입어 제약업계 최초 연 매출 1조원 달성이 주목됩니다.
전문가들은 제약업계의 의약품 수출이 안정되는 내년 상반기 이후에나 성장률을 회복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임동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