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41104/B20141104112104980.jpg)
10대 소음성 난청 환자가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소음성 난청`의 자가진단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총 10가지 문항으로 이뤄져 있는 소음성 난청의 자가진단법은 위 항목에서 상당수가 해당될 경우 소음성 난청을 의심해볼 수 있다.
다른 사람의 대화를 이해하기 위해 집중해서 귀를 기울여야 한다거나 다른 사람과 대화 시 자주 되묻는 게 대표적인 증상이다. 다른 사람과 말할 때 중얼거리는 것처럼 보이거나 시끄러운 곳에서 대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소음성 난청으로 인해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람과 한 번에 대화하는 것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고 전화로 통화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소음성 난청의 경우 낮은 소리보다 높은 소리가 잘 안 들리는 경우가 많아 `스`, `츠` 같은 고음의 소리를 듣기 어렵다. 여자나 아이가 말하는 것을 듣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면 소음성 난청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이외에 자가진단 항목으로는 `TV 소리가 너무 크다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다`와 `버스나 지하철에서 이어폰 소리를 줄여달라는 요청을 받은 적 있다` 등이 있다. 귀에서 지속적으로 이명 현상이 들리는 것도 소음성 난청의 증상이다.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조사에 따르면 소음성 난청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30대 이하가 전체의 38%로 60대 이상 노년층(17%)에 비해 2배 이상 많았다. 특히 2012년 기준으로 난청 진료 환자 수는 2008년보다 13% 감소했는데 같은 기간 10대 진료환자는 7% 증가했다.
10대 소음성 난청 증가 소식에 누리꾼들은 "10대 소음성 난청 증가 요새 다들 이어폰 끼고 다니니까", "10대 소음성 난청 증가, 여자 목소리 안 들리면 소음성 난청?", "10대 소음성 난청 증가, 노인보다 높다니 무서운데" "10대 소음성 난청 증가, 되묻는 것도 해당되는구나" 등의 반응을 보였다.
(사진= 방송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