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건물 붕괴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생존자가 내는 소리를 인식, 수색을 돕는 `사이보그 바퀴벌레`가 개발되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NCSU) 전기공학부의 앨퍼 보즈커트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최근 스페인 발렌시아에서 열린 미국전기전자공학회(IEEE) 센서 학회에서 이에 관한 논문을 발표한 것.
연구팀은 개발한 기기에 `사이보그 바퀴벌레` 혹은 `바이오봇`이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바퀴벌레의 등에 전자 기기를 얹어 고정해서 만든 것으로, 원시적이긴 하지만 생체와 기계의 결합인 `사이보그`
또는 `바이오봇`이라고 부를 수 있는 존재라고 한다.
소형 마이크로폰이 달려 있어 소리가 나는 곳을 찾아낼 수 있고 기기가 활동하는 지역적 범위를 설정,
바퀴벌레가 재난 현장을 벗어나지 않고 집중 수색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고.
무너진 건물 곳곳을 돌아다닐 수 있는 바퀴벌레를 마치 소형 구조대원처럼 이용하는 것이다.
전원은 태양광으로 충당하며, 전원이 고갈되기 전에 바퀴벌레가 빛이 있는 곳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기능도 있다.
보즈커트 교수는 "무너진 건물에서 생존자를 찾는 데 가장 유용한 것은 소리"라며 이번 연구를 하게 된 계기를 설명했다.
그는 배관에서 물 새는 소리 등 인명 구조에 의미가 없는 소리와 구조를 요청하는 생존자가 내는 소리를
구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 향후 연구의 목표라고 덧붙였다.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NCSU) 전기공학부의 앨퍼 보즈커트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최근 스페인 발렌시아에서 열린 미국전기전자공학회(IEEE) 센서 학회에서 이에 관한 논문을 발표한 것.
연구팀은 개발한 기기에 `사이보그 바퀴벌레` 혹은 `바이오봇`이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바퀴벌레의 등에 전자 기기를 얹어 고정해서 만든 것으로, 원시적이긴 하지만 생체와 기계의 결합인 `사이보그`
또는 `바이오봇`이라고 부를 수 있는 존재라고 한다.
소형 마이크로폰이 달려 있어 소리가 나는 곳을 찾아낼 수 있고 기기가 활동하는 지역적 범위를 설정,
바퀴벌레가 재난 현장을 벗어나지 않고 집중 수색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고.
무너진 건물 곳곳을 돌아다닐 수 있는 바퀴벌레를 마치 소형 구조대원처럼 이용하는 것이다.
전원은 태양광으로 충당하며, 전원이 고갈되기 전에 바퀴벌레가 빛이 있는 곳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기능도 있다.
보즈커트 교수는 "무너진 건물에서 생존자를 찾는 데 가장 유용한 것은 소리"라며 이번 연구를 하게 된 계기를 설명했다.
그는 배관에서 물 새는 소리 등 인명 구조에 의미가 없는 소리와 구조를 요청하는 생존자가 내는 소리를
구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 향후 연구의 목표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