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41112/B20141112105445647.jpg)
격자세포란 무엇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격자세포는 지난 2013년 미국 드렉셀 대학과 펜실베이니아 대학, UCLA, 토마스 제퍼슨 대학 연구팀의 인간 뇌 기록 연구를 통해 발견됐다.
당시 연구진은 “우리의 뇌 속에는 GPS(위치정보시스템)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격자세포가 있다”며 격자세포의 존재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어 “이 격자세포는 우리가 낯선 환경으로 이동할 때 새로 발견된 세포유형이 자신의 위치를 추적하게 도와준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격자세포는 공간과 거리에 관한 감지 기능을 한다. 자신이 어딘가를 갈 때 출발지점으로부터 얼마나 멀리 왔으며, 언제 마지막으로 방향을 바꿨는지 등을 알 수 있도록 도와준다.
뇌 안에서 위도와 경도의 역할을 하는 일종의 좌표를 생성해, 뇌가 공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눠 파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람들이 낯선 곳에 가더라도 자신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는 이유도 격자세포 때문이라고 밝혀졌다.
격자세포란 소식에 누리꾼들은 "격자세포란, 내비게이션이네", "격자세포란, 내 격자세포는 뭐하고 있지 도통 길을 못찾겠어", "격자세포란, 길치들은 뭐가 문제인거지?", "격자세포란, 낯선 곳에서도 길 찾는 이유 알았네", "격자세포란, 기사보고 알았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사진=2014 노벨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