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41117/B20141117143552140.jpg)
100년 전 옛 서울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사진 700장이 공개되면서, 100년 동안 자리를 지킨 보신각이 화제다.
100년 전 옛 서울의 모습이 담긴 사진을 보면 현재 서울의 공톰점은 한양 성문을 열고 닫는 시각을 알렸던 보신각 종의 위치다. 10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변하지 않고 여전히 제 자리를 지키고 있다.
보신각종이 있다고 해서 ‘종로’라고 불렸던 보신각종 근처는 100년 전 옛 서울에서도 상업가옥이 즐비하고 전차와 우마차가 북적이던 최대 번화가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조선 초기에 종로가 건설됐을 때 도로 폭은 약 18m에 4차선이었다고 알려졌다.
경기대 건축대학원 안창모 교수는 600년 전에 4차선 도로폭을 만들었다는 것은 서울의 도시계획이 미래를 내다보는 계획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현재 한국은행과 중앙우체국, 백화점, 은행 등으로 쓰이는 건물들은 일제강점기 시절에 조선은행, 경성우편국, 미쓰코시 백화점, 저축은행 자리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안창모 교수는 이곳은 식민지 자본주의 심장부였다고 전했다.
100년 전 옛 서울을 엿볼 수 있는 700점의 희귀 사진은 12월 중순까지 일반 대중에게 무료로 공개된다.
100년 전 옛 서울 사진을 접한 누리꾼들은 "100년 전 옛 서울, 보신각은 안 변했어? 신기", "100년 전 옛 서울, 다 변했는데 그대로네","100년 전 옛 서울, 보신각은 다 지켜봤겠네", "100년 전 옛 서울, 신기해", "100년 전 옛 서울, 이래서 기록이 중요한 듯", "100년 전 옛 서울, 700장 사진 궁금"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사진= 방송화면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