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발 증시특급]
- 글로벌 이슈 TOP5
출연 : 김희욱 한국경제 전문위원
로이터
미 증시 `또 사상최고`, M&A효과 재탕
액타비스-앨러간 합병, 헬스케어 저가매수 `러쉬`
글로벌 이슈 TOP 5
日經 : 아베 총리, 소비증세 미루고 총선 앞당겨
소비세 인상, 국민생활 부담 증가 인정
3분기 GDP, 경제는 생물(生物)! 성장궤도 이탈
日經
민간 대책, 교부금(상품권) · 유류보조금 부활
신케 요시키 - 다이이치 생명 연구소의 수석 경제학자 -
이번 GDP `예상 밖` 부진
- 日 정부 · 아베 총리 `예상 밖` 대책 필요
BOJ, 연간 GDP · 인플레 전망 하향 불가피
-> 추가 경기부양 가속화 효과 기대
텔레그라프
아베노믹스는 폰지(금융다단계), 어떻게든 굴러갈 것
소비세 인상, 2015년 10월 -> 2017년 4월
세입 = 금융다단계 이자, 먼저 호객행위에 집중
日 자본조달비용, G7 국가 중 `최저`
글로벌 이슈 TOP 4
비스포크 : NAHB 주택시장 지수
11월 결과 58.0(vs. 55.0)
2달 연속 전 항목 상승, 2004년래 처음
글로벌 이슈 TOP 3
美 PPI(생산자 물가지수)
10월 생산자물가 +0.2%(vs. -0.1%, 전월 -0.1%)
Core PPI(식료품-에너지 제외) +0.4%(vs. +0.1%)
글로벌 이슈 TOP 2
블룸버그 : 인플레 · 고용 활황기, 지속가능성은?
인플레, 지난 여름 이 후 계단식 상승 중
최근 美 소비 · 고용에도 `저(低)유가 혜택`
중기, 유가 재상승 · 인플레 재하락 불가피
루 크랜달 - 라잇슨 ICAP 증권의 수석 경제학자 -
- 연준 금리인상 명분 `인플레 상승`
2015년 중반 본격화 예상
주로 시간당 임금인상 효과 될 것
임금인상 -> 인플레 상승 -> 상품시장 강세
네일 두타 - 르네상스 매크로 리서치의 수석 연구원 -
- 연준 바로미터 `고용 & 실업률`이 기본
최근 고용개선, 인플레 상승 동반 포착
(고용증가 -> 실업률 하락 -> 임금 상승 -> 인플레 상승)
※ 연준 금리인상, 내년 상반기 유력
글로벌 이슈 TOP 1
BI : 애플, 투자의견 상향에 화답
BTIG, 애플 목표가 `128달러 -> 135달러`
아이폰6, 고(高)사양카메라 기능 `기대 커`
MSCI 한국지수 0.92%, 57.06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참고하세요]
★ 출발 증시 특급, 평일 오전 8시~10시 L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