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금리인상을 앞두고 우리 금융시장에 미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박해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7일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인한 자본유출 규모 추계와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이 위기상황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하진 않지만, 국내 금융시장의 위축과 가격변동성 확대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 하기 위한 철저한 대비가 요구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박 연구위원은 "미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국내 금융시장에서 자본유출이 1차적으로 발생하면 환율이 상승하고, 국내 자산가격이 하락해 자본유출이 지속되는 2차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며 "자본유출이 다른 신흥국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큰데 이 경우 전염 효과를 통해 국내 금융시장에서 추가로 자본이 유출되는 3차 효과도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 금융시장으로 유입된 외국인 투자자금이 위험자산인 주식투자자금 위주로 구성돼 있다는 점도 미 연준의 금리인상에 따른 자본유출이 가파르게 진행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박 연구위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 국내총생산(GDP) 대비 순자본유입의 변이계수는 선진국과 아시아 신흥국은 1.27과 2.35로 추정됐으나 우리나라는 이보다 훨씬 높은 6.24로 추정된다"며 "우리나라의 변이계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도 선진국과 다른 아시아 신흥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기 이전보다 더욱 확대돼 10.34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이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이 이뤄진다 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본유출 규모가 앞으로 추정한 수준보다 확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박해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7일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인한 자본유출 규모 추계와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이 위기상황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하진 않지만, 국내 금융시장의 위축과 가격변동성 확대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 하기 위한 철저한 대비가 요구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박 연구위원은 "미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국내 금융시장에서 자본유출이 1차적으로 발생하면 환율이 상승하고, 국내 자산가격이 하락해 자본유출이 지속되는 2차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며 "자본유출이 다른 신흥국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큰데 이 경우 전염 효과를 통해 국내 금융시장에서 추가로 자본이 유출되는 3차 효과도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 금융시장으로 유입된 외국인 투자자금이 위험자산인 주식투자자금 위주로 구성돼 있다는 점도 미 연준의 금리인상에 따른 자본유출이 가파르게 진행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박 연구위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 국내총생산(GDP) 대비 순자본유입의 변이계수는 선진국과 아시아 신흥국은 1.27과 2.35로 추정됐으나 우리나라는 이보다 훨씬 높은 6.24로 추정된다"며 "우리나라의 변이계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도 선진국과 다른 아시아 신흥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기 이전보다 더욱 확대돼 10.34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이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이 이뤄진다 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본유출 규모가 앞으로 추정한 수준보다 확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