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지다`(삐치다), `딴지`(딴죽), `개기다`(개개다), `허접하다`(허접스럽다) 등 실생활에서 널리 사용됐음에도
표준어로 인정받지 못하던 어휘들이 표준어가 됐다.
국립국어원은 이같은 어휘 13개 항목을 표준어로 인정한다는 내용의 `2014년 표준어 추가 사정안`을 발표하고
인터넷 표준국어대사전(http://stdweb2.korean.go.kr/main.jsp)에 이를 반영했다고 15일 밝혔다.
표준으로 추가 인정된 13개 항목은 기존 표준어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말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
현재 표준어와 뜻이나 어감이 달라 별도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 등이다.
전자는 `삐지다`(삐치다) `눈두덩이`(눈두덩) `구안와사`(구안괘사) `초장초`(작장초) `굽신`(굽실) 등 5개이며
특히 `굽실`과 더불어 `굽신`도 표준어로 쓸 수 있게 된 만큼 이 단어를 사용한 `굽신거리다` `굽신대다` `굽신굽신` 등도 함께 표준어로 인정됐다.
별도 표준어로 인정된 항목은 `개기다`(개개다) `꼬시다`(꾀다) `놀잇감`(장난감) `딴지`(딴죽) `사그라들다`(사그라지다)
`섬찟`(섬뜩) `속앓이`(속병) `허접하다`(허접스럽다) 등 8개다.
일례로 기존 표준어 `개개다`는 `성가시게 달라붙어 손해를 끼치다`라는 뜻인 반면
`개기다`는 `명령이나 지시를 따르지 않고 버티거나 반항하다`라는 뜻의 속된 표현이어서 복수 표준어가 아닌 별도 표준어로 인정했다.
`섬찟`은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시무시하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 `섬뜩`은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섭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으로
언뜻 별 차이가 없어 보이나 `섬찟`의 느낌이 한층 강하다는 것이 국어원의 설명이다.
역시 `섬찟`의 표준어 인정에 따라 `섬찟하다` `섬찟섬찟` `섬찟섬찟하다` 등도 표준어로 함께 인정됐다.
표준어로 인정받지 못하던 어휘들이 표준어가 됐다.
국립국어원은 이같은 어휘 13개 항목을 표준어로 인정한다는 내용의 `2014년 표준어 추가 사정안`을 발표하고
인터넷 표준국어대사전(http://stdweb2.korean.go.kr/main.jsp)에 이를 반영했다고 15일 밝혔다.
표준으로 추가 인정된 13개 항목은 기존 표준어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말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
현재 표준어와 뜻이나 어감이 달라 별도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 등이다.
전자는 `삐지다`(삐치다) `눈두덩이`(눈두덩) `구안와사`(구안괘사) `초장초`(작장초) `굽신`(굽실) 등 5개이며
특히 `굽실`과 더불어 `굽신`도 표준어로 쓸 수 있게 된 만큼 이 단어를 사용한 `굽신거리다` `굽신대다` `굽신굽신` 등도 함께 표준어로 인정됐다.
별도 표준어로 인정된 항목은 `개기다`(개개다) `꼬시다`(꾀다) `놀잇감`(장난감) `딴지`(딴죽) `사그라들다`(사그라지다)
`섬찟`(섬뜩) `속앓이`(속병) `허접하다`(허접스럽다) 등 8개다.
일례로 기존 표준어 `개개다`는 `성가시게 달라붙어 손해를 끼치다`라는 뜻인 반면
`개기다`는 `명령이나 지시를 따르지 않고 버티거나 반항하다`라는 뜻의 속된 표현이어서 복수 표준어가 아닌 별도 표준어로 인정했다.
`섬찟`은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시무시하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 `섬뜩`은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섭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으로
언뜻 별 차이가 없어 보이나 `섬찟`의 느낌이 한층 강하다는 것이 국어원의 설명이다.
역시 `섬찟`의 표준어 인정에 따라 `섬찟하다` `섬찟섬찟` `섬찟섬찟하다` 등도 표준어로 함께 인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