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투자자들이 출구전략을 대비해 글로벌 자금 회수에 들어갔습니다.
과연 대규모 자금유출로 이어져 우리 경제에 충격을 줄지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김택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 투자자들은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전세계에서 총 937억달러 어치의 외국채권을 순매도했습니다.
연간 매도 기준으로 사상 최대 규모입니다.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비해 글로벌 자금 회수에 들어간 겁니다.
<인터뷰> 윤인구 국제금융센터 채권팀장
"달러화 강세가 나타나고 있고 미국에 비해서 외국의 채권금리는 상대적으로 많이 낮아져 있고 이런 상황에선 유동성을 많이 풀 때 흘러나갔던 달러 캐리트레이드 자금이 청산될 가능성이 있거든요."
하지만 이같은 미국의 출구전략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평가가 엇갈립니다.
캐나다중앙은행은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 후 3개월 동안 한국의 자본유출 규모가 GDP 대비 2.39%, 총 8조6천억원에 달할 걸로 추산했습니다.
이는 23개 신흥국 가운데 헝가리(3.95%), 남아프리카공화국(3.88%), 말레이시아(3.18%), 태국(2.65%) 이어 5번째로 큽니다.
반면 한국의 자본유출 충격이 신흥국 가운데 상대적으로 낮을 것이란 견해도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경상수지 흑자를 몇 년째 지속하고 있고 최근에 단기채도 많이 낮춘데다 물가도 낮고 외환보유고도 상당히 쌓고 있어서 이런 측면에서 보면 /우리나라는 경제위기 가능성이 낮은 그룹에 속하는 걸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자본 유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해법에 대해서도 다양한 견해가 나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외환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현재 3635억달러 수준인 외환보유고를 더 쌓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기간이 만료된 한·미 통화스와프를 재추진하고 다음달 만료되는 한·일 통화스와프의 만기 연장이 필요하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또 보다 근본적으로 가계부채와 부실기업 구조조정 등 선제적인 구조개선 작업을 통해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한국경제TV 김택균입니다.
미국 투자자들이 출구전략을 대비해 글로벌 자금 회수에 들어갔습니다.
과연 대규모 자금유출로 이어져 우리 경제에 충격을 줄지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김택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 투자자들은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전세계에서 총 937억달러 어치의 외국채권을 순매도했습니다.
연간 매도 기준으로 사상 최대 규모입니다.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비해 글로벌 자금 회수에 들어간 겁니다.
<인터뷰> 윤인구 국제금융센터 채권팀장
"달러화 강세가 나타나고 있고 미국에 비해서 외국의 채권금리는 상대적으로 많이 낮아져 있고 이런 상황에선 유동성을 많이 풀 때 흘러나갔던 달러 캐리트레이드 자금이 청산될 가능성이 있거든요."
하지만 이같은 미국의 출구전략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평가가 엇갈립니다.
캐나다중앙은행은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 후 3개월 동안 한국의 자본유출 규모가 GDP 대비 2.39%, 총 8조6천억원에 달할 걸로 추산했습니다.
이는 23개 신흥국 가운데 헝가리(3.95%), 남아프리카공화국(3.88%), 말레이시아(3.18%), 태국(2.65%) 이어 5번째로 큽니다.
반면 한국의 자본유출 충격이 신흥국 가운데 상대적으로 낮을 것이란 견해도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경상수지 흑자를 몇 년째 지속하고 있고 최근에 단기채도 많이 낮춘데다 물가도 낮고 외환보유고도 상당히 쌓고 있어서 이런 측면에서 보면 /우리나라는 경제위기 가능성이 낮은 그룹에 속하는 걸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자본 유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해법에 대해서도 다양한 견해가 나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외환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현재 3635억달러 수준인 외환보유고를 더 쌓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기간이 만료된 한·미 통화스와프를 재추진하고 다음달 만료되는 한·일 통화스와프의 만기 연장이 필요하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또 보다 근본적으로 가계부채와 부실기업 구조조정 등 선제적인 구조개선 작업을 통해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한국경제TV 김택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