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10명가운데 4명은 자신 소유의 집을 갖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의 자가주택 보유율은 58%로 지난 2012년보다 0.4%포인트 줄었습니다.
자가 보유율은 처음 주거실태조사가 시작된 지난 2006년 61%에서 2008년에는 60.9%, 2010년 60.3%, 2012년 58.4%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같은 기간 고소득층의 자가주택 보유 비율은 72.8%에서 77.7%로 늘어난 반면, 중소득층은 56.8%에서 56.4%로, 저소득층은 52.9%에서 50%로 각각 줄면서 주거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세가구의 월세전환률도 늘었습니다.
전체 임대차 가구 가운데 월세가구는 2012년 50.5%에서 2014년 55%로 증가한 반면 전세가구는 같은 기간 49.5%에서 45.%로 줄었습니다.
한편, 내집을 마련해야 겠다는 국민들의 의식은 다소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내 집을 꼭 마련하겠다’고 생각하고 있는 국민은 79..1%로 2010년(83.7%)보다 4.6%포인트 감소했습니다.
특히, 가구주의 연령이 34세 이하인 경우 타 연령층에 비해 내 집을 꼭 마련하겠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70.9%로 가장 낮았습니다.
국토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서민 및 중산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올해 주거비 부담이 높은 저소득층을 위해 주거급여를 확대시행하고 공공임대주택 12만호 입주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의 자가주택 보유율은 58%로 지난 2012년보다 0.4%포인트 줄었습니다.
자가 보유율은 처음 주거실태조사가 시작된 지난 2006년 61%에서 2008년에는 60.9%, 2010년 60.3%, 2012년 58.4%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같은 기간 고소득층의 자가주택 보유 비율은 72.8%에서 77.7%로 늘어난 반면, 중소득층은 56.8%에서 56.4%로, 저소득층은 52.9%에서 50%로 각각 줄면서 주거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세가구의 월세전환률도 늘었습니다.
전체 임대차 가구 가운데 월세가구는 2012년 50.5%에서 2014년 55%로 증가한 반면 전세가구는 같은 기간 49.5%에서 45.%로 줄었습니다.
한편, 내집을 마련해야 겠다는 국민들의 의식은 다소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내 집을 꼭 마련하겠다’고 생각하고 있는 국민은 79..1%로 2010년(83.7%)보다 4.6%포인트 감소했습니다.
특히, 가구주의 연령이 34세 이하인 경우 타 연령층에 비해 내 집을 꼭 마련하겠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70.9%로 가장 낮았습니다.
국토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서민 및 중산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올해 주거비 부담이 높은 저소득층을 위해 주거급여를 확대시행하고 공공임대주택 12만호 입주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