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은 프랑스 아르케마(Arkema)사와 손잡고 5조원 규모의 사료용 아미노산인 메치오닌 시장을 공략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CJ제일제당은 말레이시아에 4억 달러 이상을 투자한 8만톤 규모의 L-메치오닌 공장을 오늘(29)부터 가동합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50129/B20150129084049800.jpg)
CJ제일제당은 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메치오닌이 세계 최초로 원당과 포도당을 사용한 필수아미노산이라고 설명했습니다.
5조원 시장규모인 메치오닌은 라이신(4조원)과 함께 전체 사료용 필수아미노산 시장에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독일 에보닉(Evonik)과 중국 아디세오(Adisseo), 미국 노보스(Novus), 일본 스미토모(Sumitomo) 등 4개 기업이 95% 이상의 점유율을 갖고 있는 상황입니다.
김철하 CJ제일제당 대표이사는 "CJ제일제당이 글로벌 그린바이오사업 영토 확장을 위해 수익성과 시장성장가능성이 높은 메치오닌 시장에서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잡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를 위해 CJ제일제당은 말레이시아에 4억 달러 이상을 투자한 8만톤 규모의 L-메치오닌 공장을 오늘(29)부터 가동합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50129/B20150129084049800.jpg)
CJ제일제당은 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메치오닌이 세계 최초로 원당과 포도당을 사용한 필수아미노산이라고 설명했습니다.
5조원 시장규모인 메치오닌은 라이신(4조원)과 함께 전체 사료용 필수아미노산 시장에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독일 에보닉(Evonik)과 중국 아디세오(Adisseo), 미국 노보스(Novus), 일본 스미토모(Sumitomo) 등 4개 기업이 95% 이상의 점유율을 갖고 있는 상황입니다.
김철하 CJ제일제당 대표이사는 "CJ제일제당이 글로벌 그린바이오사업 영토 확장을 위해 수익성과 시장성장가능성이 높은 메치오닌 시장에서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잡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