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독법 의미, 배워두면 좋은 속독법 "한국에서는 70년대부터 성행"

입력 2015-02-15 22:08  


속독법 의미

속독법 의미가 누리꾼들 사이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속독법 의미는 책의 내용을 이해하면서도 빨리 읽는 법, 또는 그러한 기능을 익히는 법을 말한다. 속독법은 급속도로 발달·변천하는 현대사회에서 빠르고 효율적으로 지식과 정보를 얻기 위한 필요성에서 개발되었다.

속독법으로 책을 읽으면 1분에 2,100자 이상을 읽고 이해, 기억이 가능하다.

한국에서는 속독법에 대해 1960년대부터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하였고, 70년대부터 성행하기 시작한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이이(李珥)가 성혼(成渾)과 나눈 대화 중 성혼이 "나는 책을 읽을 때 한꺼번에 7∼8줄밖에 못 읽는다"고 하자, 이이는 "나도 한꺼번에 10줄밖에 못 읽는다"고 대답하였다는 일화를 비롯해, 1604년(선조 37) 고승 유정(惟政)이 일본에 사신으로 갔을 때 가마를 타고 성까지 가면서 길 양쪽에 펴 놓은 금 병풍에 쓰인 시를 다 읽고 그대로 이야기해 일본사람들을 놀라게 했다는 이야기 등 속독에 관한 여러 일화가 전해진다.

속독법 의미를 접한 누리꾼들은 "속독법 의미, 배우고 싶다" "속독법 의미, 빠르고 정확하게 읽는것이라고 함" "속독법 의미, 책도 엄청 빨리 읽겠네" 등의 반응이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