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경기의 활력이 떨어진다는 뜻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5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과 일본의
2013년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각각 1.3%, 2.7%로 한국이 일본보다 1.4%p 낮았다.
이처럼 한국의 물가 상승률이 일본에 못 미친 것은 오일쇼크가 불어닥친 1973년 이래 41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과 일본의 1973년 물가 상승률은 각각 3.2%와 11.6%였다.
당시 중동전쟁이 일어나 석유 가격이 수직 상승하자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이 발생했고
일본에 비해 공업이 상대적으로 덜 발달돼 있던 한국은 유가상승으로 인한 타격을 덜 받았기 때문이다.
이후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2013년까지 40년간 단 한번도 일본보다 낮았던 적이 없었고
1974년 일본보다 1.1%p 높았던 것을 시작으로 1980년에는 격차가 20.9%p까지 벌어졌다.
일본의 거품경제가 꺼지기 시작한 1992년부터 2013년까지 22년간 일본은 마이너스 또는 0∼1%대의 낮은 물가상승률을 기록했으나
같은 기간에 한국의 물가는 최고 7.5%(1998년)까지 올랐었다.
지난해 일본은 소비세 인상과 엔화약세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물가상승률이 1991년(3.3%) 이래 최고인 2.7%를 기록했지만,
한국은 농축수산물, 석유류 제품 가격 하락으로 1.3%에 그쳤다.
특히, 지난해 물가상승률의 산출 기반이 되는 2013년의 물가상승률도 1.3%로 매우 낮았다는 점에서
저성장·저물가 구조가 고착화, 디플레이션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특히 4일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 강연에서 디플레 우려를 공식화한 점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한국의 물가상승률이 경제 고도화를 훨씬 앞서 이룩하고 인구고령화가 더 심각한 일본보다도 낮다는 것은
그만큼 최근 한국의 경제 활력이 크게 떨어졌다는 점을 입증,더더욱 심각한 형국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주요 7개국(G7) 평균치에도 못 미쳤다.
G7의 지난해 평균 물가상승률은 1.6%로 한국보다 0.3%p 높은데 G7 평균보다 한국의 물가상승률이 낮아진 것은 8년만이다.
지난해 일본(2.7%), 캐나다(1.9%), 미국(1.6%), 영국(1.5%) 등 4개국은 한국보다 높고, 독일(0.9%), 프랑스(0.9%), 이탈리아(0.2%) 3개국은 낮았다.
OECD 34개국 평균도 1.7%로 한국보다 높았다.
지난해 연말부터는 월별 물가상승률이 3개월 연속 0%대를 기록했고 지난달 물가는 담뱃값 인상 효과를 제외하면 마이너스인 상황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