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최전선] 이승석 종목스토리 '삼성물산'

입력 2015-03-25 16:43   수정 2015-04-02 17:00



[증시최전선] 이승석 종목스토리 `삼성물산`

주식시장이 기업실적이나 자산가치 등의 펀더멘털을 모두 잘 반영하면 분석에 따른 투자의 수익이 아주 대단한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필자와 같이 시장을 분석하고 종목을 분석해 그정보를 제공하거나 고객자산을 관리하는 일을 직업으로 갖고 있는 사람은 누구나 이런 생각을 할 것인데 문제는 현실은 녹녹치 않다는 것이다.


기업의 주가에는 해당 기업의 다양한 가치가 포함되어 있는데 그중에 청산가치라는 것이 있다.
청산가치(Liqidating Value)라는 것은 존속가치와 상반되는 개념인데 청산가치라는 것은 기업이 파산 등 기타의 이유로 더이상의 영업활동을 못하게되는 경우 해당시점에 산출되는 기업가치다.


청산가치가 높은 기업은 그만큼 기업의 안정성이 뛰어다나는 것의 반증이며 안정성 있는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에게는 매우 중요한 투자판단 기준이 될 것이다.
오늘 이렇게 청산가치를 서두에 꺼내면서 종목스토리를 풀려고 하는 기업은 삼성물산이다.


삼성물산의 최근 주가를 기준으로 한 시가총액은 약 9조원 내외이다.
실적성장성은 건설부문의 회복에도 불구하고 트레이딩부문의 정체로 대폭적인 실적 호전을 보이진 못하고 있지만 잘알다시피 브랜드인지도에 따른 안정적 실적을 유지하고 있다.


정작 삼성물산의 최근 주가상황이 답답한 것은 실적도 실적이지만 이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삼성그룹내 다른 계열사 지분에 대한 자산가치가 주가에 전혀 반영이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 때문이다.
물론 삼성그룹의 지배구조재편 이슈에 따른 유동성 확보로 인한 부담과 삼성에스디에스제일모직 등 신규상장주 유입에 따라 삼성그룹관련 펀드 내 자금 배분 문제 등으로 삼성물산이 다소 수급적으로 꼬일 수 있는 환경이 있는 것은 인정하겠지만 어쨌건 삼성물산이 보유하고 있는 삼성그룹내 다른 기업 지분가치가 13조원에 이르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의 주가수준은 싸도 너무 싸다.


<삼성물산 보유 / 삼성그룹내 주요계열사 지분 현황>





위의 그림은 삼성물산이 보유하고 있는 삼성그룹내 주요 계열사 지분 현황인데 이외에도 삼성종합화학, 삼성석유화학 등 일부 기업지분보유는 빠져 있다.
이중에 삼성전자 지분 4%만해도 8조원이 넘으며 최근 상장한 삼성에스디에스, 제일모직 등을 다 포함하면 추산되는 보유주식자산가치는 13조원을 넘는다.


삼성물산의 현재 PBR수준은 0.7배 이하에서 주가가 거래되고 있다.
성장형 산업이 아니고 최근 구조조정 등이 진행되고 있고 트레이딩부문의 실적둔화 등의 주가할인 요인등을 다 반영해도 지금의 주가수준은 이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낮은 가격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만일 삼성물산이 현재 상황에서 문을 닫게 된다고 하더라도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삼성물산의 보유주식만 처분해도 손해볼 일이 없다.
그렇다면 삼성물산은 시가총액은 9조원이고 지분보유가치는 13조원이라면 삼성물산이라는 회사자체의 가치는 없나?
절대 아니다.


주식시장에서 자주 인용되는 문구가 있다.
"기업의 주가는 결국 가치에 수렴된다"
이또한 이게 상식적으로 통용되지 않는 시장은 투자의 이유가 없으며 투자를 중단해야 한다.
주가라는 것이 시장 참여자의 심리에 의해 일시적 왜곡현상이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시황변동과 일시적 요인으로 인해 생기는 현상이며 중기 장기적으로는 결국 기업 가치를 반영해 나가는 것이 옳으며 또한 주식시장의 엯는 늘 그래왔다.


최근 삼성물산의 외국인 지분은 연일 사상최대 규모를 경신하고 있는 반면 국내기관들의 펀드환매에 따른 물량 부담으로 수급이 꼬여 주가가 왜곡되고 있지만 이는 오랫동안 지속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삼성물산은 또한 향후 건설과 트레이딩부문의 분사 가능성 등 지배구조재편 이슈가 여전히 있다는 측면 등을 고려할 때 지금은 투자의 적기라고 판단된다.
현재 실적과 기업가치를 고려한 적정 주가는 9만원정도로 분석되지만 최소 단기 7만원 정도의 반등은 기대해도 좋다고 판단된다.


결국 주식투자가 어려운 것은 앞에서도 언급한대로 기대수익과 현실주가의 괴리가 생기는 것 때문인데 이는 결단코 기업가치로 승부하면 최종에는 좋은 수익으로 연결될 것이라는 확신있는 투자가 중요하다.
오늘은 삼성물산을 소개했다.
-----------------------------------------------------
‘증시최전선’ 은 매주 월~목요일 밤 12시, `증시최전선-일요판`은 매주 일요일 밤 10시에 진행되며 마켓이슈, 투자전략, 투자종목, 미리 보는 종목이슈, 글로벌증시 등의 코너들이 있다.
-----------------------------------------------------
대한민국 투자의 시작!
<증시최전선> 매주 월~목 밤 12시, 생방송
<증시최전선-일요판> 매주 일요일 밤 10시, 생방송
-----------------------------------------------------
<증시최전선> 공식카페
http://cafe.naver.com/wowfrontline
-----------------------------------------------------
슈넬생명과학/키스톤글로벌/ 퍼스텍/ KODEX 레버리지/ TIGER 원유선물(H)
KODEX 인버스/ 파미셀/ 콤텍시스템/ 미래산업/ 영화금속
현대페인트/ 아시아나항공/ 에넥스/ 한창/ SK하이닉스
대영포장/ 한국화장품/ 대우조선해양/ 신성통상/ IHQ
우리은행/ 코아스/ 모나리자/ 중국원양자원/ 체시스
팬오션/ SG세계물산/ SH에너지화학/ 한화케미칼/ 한솔홈데코
SK증권/ LG디스플레이/ KODEX 200/ 삼성엔지니어링/ 우리종금
흥아해운/ 삼성중공업/ 유안타증권/ 쌍방울/ 일진홀딩스
한진중공업/ 화승인더/ 대우건설/LG유플러스/ 한국주철관
아남전자/ 이필름/ 남선알미늄/ 영진약품/ 한진해운
한창제지/ 동양/ 신일산업/ 페이퍼코리아/ 대창
한국전력/ NH투자증권/ 신성솔라에너지/ 두산인프라코어/ 진흥기업
보해양조/ 인디에프/ KR모터스/ 기아차/ 이월드
기업은행/ 금양/ 에이엔피/ 벽산/ 에이블씨엔씨
모나미/ SK네트웍스/ GS건설/ 오리엔트바이오/ 대우증권
대양금속/ 로엔케이/ 보락/ 신우/ 신한지주
대한항공/ TIGER 200/ 삼익악기/ 신성에프에이/ 맥쿼리인프라
윌비스/ SK이노베이션/ 현대차/ 일신석재/ 유양디앤유
S-Oil/ 현대건설/ 카프로/ 롯데손해보험/ 현대상선
현대증권/ 진원생명과학/ KGP/ 무림페이퍼/ 한국화장품제조
-----------------------------------------------------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