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주도권을 쥐고간 KT와 달리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마음이 조급해졌습니다.
뒤이어 비슷한 요금제를 내놓는다고 선언했지만 이것저것 따질 것이 많아 고민은 더 깊어지고 있습니다.
지수희 기자입니다.
<기자>
이번주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내놓겠다던 LG유플러스는 마무리 단계에서 발표 시기를 저울질 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미래부에 요금제인가 신청을 했지만 한차례 유예되면서 예상보다 발표시기가 늦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KT의 신규요금제 가입자가 10만명을 넘어서면서 두 통신사들은 발을 동동 구르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를 이월하거나 당겨쓰는 KT의 `밀당`요금제가 특허 출원 중이어서 다른 두 회사는 이를 넘어선 새로운 혜택을 내놔야 하는 부담도 더해졌습니다.
통신 3사마다 가입자 성격이 달라 수지타산도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통화가 많아질 경우 LG유플러스는 타격이 가장 큽니다.
가입자 비중이 20%뿐인 LG유플러스가 나머지 80%의 타사 고객과 통화가 이뤄질 때마다 접속료를 내야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지난해 이통3사의 접속료부담은 LG유플러스가 가장 컸습니다. (2014년 접속료 수익 : SKT 1천억, KT -200억, LG유플러스 -1500억)
음성통화량이 많은 중장년층 가입자 비중이 큰 SK텔레콤은 우선 이들 충성고객의 이탈을 막는 것이 가장 시급합니다.
이통 3사 가운데 가입자당 매출(ARPU)이 가장 큰 SK텔레콤은 충성고객이 이탈하거나 데이터 사용구간이 낮은 요금제로 변경할 경우 타격이 클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통신사들은 장기적으로 고객들의 데이터 사용을 늘리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위원
"이런 요금제 이유가 통화량이 많을 것 같지 않으니 데이터 갖고 돈을 벌어보자 라는 취지로 만든 것이거든요. (포인트는) 요금제를 촘촘히 만든것이다. 데이터 사용량 많아지면 5천원만 더내고 쉽게 옮길 수 있으니깐.."
데이터 사용량은 꾸준히 증가해 당장 가입자당 매출에 타격을 입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승산이 있을 것이라는 게 업계 전망.
그러나 다른 통신사들이 KT의 2만9900원보다 더 낮은 요금으로 맞붙을 경우 제살깎아먹기 경쟁으로 소비자 편의성은 좋아지지만 업계 수익률은 낮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지수희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