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규수의 현대문화평설] 인간과 자연이 함께 하는 한솥밥 문화를 위한 제언

입력 2015-05-15 08:38   수정 2015-05-15 11:24

<p class="바탕글">
▲ <노규수 해피런(주) 대표> 한국이 급격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을 때마다 노인들의 `끼니` 걱정을 하게 된다. 전체 노인의 67.5%는 혼자 살거나(독거노인) 부부만 살고 있다는 정부 통계 때문이다.
<p class="바탕글">그래서 가끔은 외로운 사람들끼리 모여 `한솥밥`을 지어먹는 자활공동체를 꿈꾸기도 한다. 그렇게 되면 노인 수용시설을 기피하는 젊은 사람들도 자신의 노후생활을 위한 대안으로 그 같은 생산 공동체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p class="바탕글">실제 `한솥밥을 먹는 사람`과 같은 정다운 말도 없다. 한 집에 살며 밥을 같이 먹는 친가족적인 표현이어서 그렇다. 그래서 직장에 새로운 직원이 들어오거나 공동체에 새 회원이 들어오면 한솥밥을 먹게 됐다고 반가워하는 것이다.
<p class="바탕글">그만큼 한국인에게 `밥`과 `밥 문화`가 중요했다. 밥을 먹고 내는 힘, 즉 `밥심`으로 살아 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런지 밥을 나타내는 우리말 단어가 무려 170여 가지에 이른다.
<p class="바탕글">그중에 재미있는 말이 `메`다. 사전적인 의미로는 "제사 때 신위(神位) 앞에 놓는 밥" 또는 "궁중에서 밥을 일컫는 말"이다.
<p class="바탕글">어느 국어학자는 `며느리`라는 말도 밥이라는 뜻의 `메`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원형인 `메나리`에서 나온 말로 `메`+`나리`의 합성어, 즉 "메를 내려 받는 사람"의 뜻이 `며느리`로 됐다는 것이다.
<p class="바탕글">지금도 가정에서 제사를 지낼 때 "메를 올리라"는 말을 쓰는데, 조상신에게 밥을 드리고 그 밥을 다시 내려 받는 사람이 바로 `며느리`라는 것이다.
<p class="바탕글">원시 모계사회의 전통이 유전되어 온 현상이다. 그래서 `며느리`라는 말은 한 가정의 `제사장을 이어받는 사람`이라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옛날에는 할머니, 어머니 등 여성의 지위가 그만큼 인정받았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p class="바탕글">따라서 밥이란 단어도 격에 따라 달랐다. 기독교 기도문에 나오는 `일용할 양식`들은 `끼니`라 불렀다. 아침, 점심, 저녁과 같이 날마다 일정한 시간에 먹는 밥 또는 그렇게 먹는 일이라는 뜻이다.
<p class="바탕글">계층별로 보면, 신(神)이 먹는 `메`를 어린아이가 먹으면 `맘마`다. 대신 임금님의 밥은 `수라`다. 어른들이나 양반들이 먹으면 `진지`요, 하인이 먹으면 `입시`며, 거지가 먹으면 `동냥`이고, 죄수가 먹으면 `콩밥`이다.
<p class="바탕글">그렇게 나이나 신분에 따른 밥 이름이 8종이다. 그 외도 수두룩하다. 밖에서 먹는 밥 이름이 `객짓밥` `눈치밥` 등 5종, 담긴 모양이나 그릇에 따른 명칭이 `고봉밥` `공기밥` 등 15종, 일하면서 먹는 밥이 `곁두리` `기승밥` 등 7종이나 된다.
<p class="바탕글">밥 이름 중 가장 많은 것이 `콩나물밥`과 같이 `재료에 따른 밥`으로 64종이다. 김밥 꽁보리밥 비빔밥 볶음밥 약밥 등 흔히 먹는 밥이 있는가 하면, 애벌 찧은 쌀로 지은 `날반`이나, 흰밥을 매홍지(梅紅紙) 위에 뒤섞어서 불그스름한 복숭앗빛으로 물을 들인 `도화반` 등 처음 들어보는 밥도 있다.
<p class="바탕글">이러한 밥 이름들은 우리 민족의 생활상을 그대로 나타내는 또 하나의 지표다. 한 가정에서나, 한 고을에서나, 한 나라 안에서 임금님과 백성들이 모여 한솥밥을 먹으며 살아온 5천년 역사가 바로 우리의 `밥`이었으며, 그 `밥`을 `며느리`들이 준비해왔다.
<p class="바탕글">우리 조상들은 비록 보릿고개 등 어려운 생활을 겪기도 했지만 "나 혼자 먹자"고 밥을 짓지는 않은 것이 한민족의 여유이자 멋이었다.
<p class="바탕글">그 증거가 바로 `까치밥`이다. 아침에 까치가 울면 손님이 온다고 믿었던 것처럼 까치라는 짐승도 한 가족이기에 그들이 먹을 수 있도록 수확기에 높은 나무위의 과일을 전부 따지 않고 몇 개 남겨 놓게 되었다.
<p class="바탕글">가을이 가고 눈보라가 몰아치는 추운 겨울이 왔을 때 먹이를 찾지 못하는 새들이나 작은 짐승들이 한 끼의 먹이라도 해결하라고 남겨 놓은 인정의 발로다.
<p class="바탕글">또 `고수레`도 있었다. 산이나 들에서 밥을 먹을 때 산신(山神)이나 지신(地神)에게 먼저 바친다는 뜻으로 음식을 조금 떼어 던지는 것이다.
<p class="바탕글">이렇듯 인간과 짐승, 산과 들, 하늘과 땅이 모두 한솥밥 가족으로 생각하고 살아온 것이 우리의 역사였고 홍익인간(弘益人間)들의 생활철학이었다.
<p class="바탕글">그래서 한 방송사(MBC)에서는 지난해 추석특집으로 `남북한 화합 프로젝트-한솥밥`이라는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했다.
<p class="바탕글">몇몇 연예인 가족들이 탈북자들과 한 가족을 이루며 사는 모습을 통해 문화와 이념을 뛰어넘어 남북한이 하나가 되는 과정을 리얼하게 그린 프로그램이었다.
<p class="바탕글">필자 역시 외로운 사람들이 한 가족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얼마 전부터 거대한 `한솥밥` 프로그램을 준비해오고 있다. 젊은이들은 물론 장년들에게도 미래를 향한 인생 설계를 할 수 있도록 새로운 밥을 선물하고 싶다는 생각 때문이다.
<p class="바탕글">그래서 밥 이름도 지었다. 야생의 농장에서 채취한 산나물과 약초 100가지를 넣은 비빔밥이 `백초(百草) 밥`이고, 100가지의 야생화로 비빈 밥이 `백화(百花) 밥`이다. 2년 전부터 매년 행사를 개최하고 있지만, 먹으면 먹을수록 야생의 맛, 인간의 맛을 느낄 수 있다는 친지들의 말을 듣고 있다.
<p class="바탕글">`백초밥`과 `백화밥`의 재료는 기본적으로 무공해 자연환경이나 농약 비료 등 화학물질이 개입되지 않은 곳에서 자란 산나물과 꽃이다.
<p class="바탕글">따라서 인간보호가 `백초밥`에, 자연보호가 `백화밥`에 있다는 사실을 많은 친지들이 기억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p class="바탕글">글_노규수 : 1963년 서울 출생. 법학박사. 2001년 (사)불법다단계추방운동본부 설립 사무총장. 2002년 시민단체 서민고통신문고 대표. 2012년 소셜네트워킹 BM발명특허. 2012년 대한민국 신지식인 대상. 2012년 홍익인간. 해피런㈜ 대표이사. 2013년 포춘코리아 선정 `2013 한국경제를 움직이는 인물`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