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가오후청 중국 상무부 부장은 서울 하얏트 호텔에서 영문본·한글본·중문본 등 3개의 한·중 FTA 협정문에 서명하고 이를 교환했습니다.
이로써 한국과 중국 두 나라는 지난 2012년 5월 협상개시 이후 3년만에 정식서명 절차를 마무리했습니다.
정부는 한·중 FTA가 발효될 경우 앞으로 10년 동안 실질 GDP 0.96% 추가성장, 소비자 후생 146억달러 개선, 5만3천805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생길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관세철폐에 따른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것이며, 서비스 시장 개방, 무역장벽 해소, 투자유치 활성화 등 정성적 측면 고려시 실제 우리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산업부는 설명했습니다.
중국운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국으로, FTA로 관세가 철폐되면 양국간 GDP 12조 달러의 거대 시장이 탄생합니다.
정부는 서명 직후 한·중 FTA 비준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으로, 국회 비준이 완료되면 양국이 국내절차를 완료하였음을 서면으로 상호 통보하는 날부터 60일 후 또는 양국이 합의하는 날에 FTA가 발효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