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사망률, 암ㆍ당뇨병 등 지병 유무에 따라 4배 차이

입력 2015-06-03 15:55  

평소 건강한 사람은 암ㆍ당뇨병ㆍ만성 콩팥병 등 기존에 다른 질환이 있는 사람에 비해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증후군)로 인한 사망률이 1/4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 주최로 서울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메르스, 그 끝은 어디인가? 가상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에서 주제 발표를 한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가정의학과 이재갑 교수는 “현재까지 메르스 환자를 분석한 결과 평소 암ㆍ당뇨병 등 지병을 가진 메르스 환자는 44.3%(515명 중 228명 사망)의 사망률을 보였지만 이런 병이 없는 건강한 메르스 환자의 사망률은 10.7%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지병 소유 여부가 불분명한 메르스 환자의 사망률은 그 중간인 17%였다.
이 결과는 모두 1018명(외국 발생)의 메르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로 전체 사망률은 30.4%였다.
이 교수는 “낙타 등에서 직접 메르스에 감염됐거나 감염 이유가 불분명한 환자의 사망률은 35.8%(667명 중 246명) 2차 감염을 통해 메르스에 걸린 환자의 사망률은 17.9%(351명 중 63명)로 1차 감염자의 절반 수준”이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일반인이라고 볼 수 있는 의사ㆍ간호사 등 의료인의 메르스 사망률은 5.7%(159명 중 9명)로 가장 낮았다.
이 교수는 “국내 메르스 환자 2명도 지병을 갖고 있었다”며 “건강한 사람의 메르스 사망률이 평소 중한 지병을 가진 환자들보다 훨씬 낮으므로 요즘처럼 감염병이 창궐했을 때는 각자 스트레스를 덜 받고 충분한 휴식ㆍ수면을 취하는 등 병에 대한 면역력을 높이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패널 토론자로 참석한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김성한 교수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지난해 4월11일∼6월9일 새 발생한 메르스 환자를 분석한 결과 의료인의 사망률은 4%였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있다”고 소개했다.
김 교수는 “1차 메르스 감염자에 비해 2차 감염자의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메르스 바이러스가 1차에서 2차, 3차 환자로 옮겨지면서 독성이 약해져서가 아니라 2차 감염자가 1차 감염자에 비해 증상을 일찍 발견하고 치료시기가 빨라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메르스는 2012년 첫 발생 이후 환자 분포도 약간 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립암센터 기모란 박사는 “메르스 발생 초기엔 환자의 평균 나이가 56세, 남성이 여성보다 2.8배 많았으나 요즘은 평균 나이가 41세로 줄었고 남녀 비율도 1.3대 1로 완화됐다”고 소개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