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신혼부부(결혼 5년차 이하)의 평균 주거면적은
72.7㎡로 전국(80.1㎡), 수도권(76.5㎡) 평균보다 작은 것으로 파악됐다.
거주 주택 유형은 아파트와 주상복합이 44.6%로 가장 많았고 다세대·연립주택(36.7%), 단독·다가구주택(16.4%)이 뒤를 이었다.
거주주택 점유형태는 전세가 63.5%로 가장 많았고 자가(21.4%), 부모 자택·사택·관사 등 무상(8.1%),
반전세를 포함한 월세(7%) 등 순이었다.
자가 거주자의 주택가격은 2억원에서 3억원 사이가 44.5%로 가장 많았고 평균 금액은 2억 7천만원이었다.
전세 거주자의 전세보증금은 1억원에서 2억원 사이가 49.3%로 가장 많았고 평균 금액은 1억 4천만원으로 집계됐다.
보증부 월세 거주자의 보증금은 평균 7,00만원, 월세는 평균 32만원이었다.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올릴 경우 5가구 중 3가구(62.8%)는 `인상요구 수준을 보고 계속 거주할지 판단하겠다`고 응답했는데
수용 가능한 인상금액은 1천만∼2천만원이 31.4%로 가장 많았다.
전세보증금 인상 시 24.1%는 인상 금액과 상관없이 다른 전세로 이사하겠다고 답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