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숙, '미시마 유키오' 작품 표절 논란...이응준 "의식적 도용" 주장

입력 2015-06-17 11:48  



신경숙미시마유키오 신경숙 미시마 유키오

신경숙, `미시마 유키오` 표절 논란...이응준 "의식적 도용" 주장

소설 `엄마를 부탁해` `외딴방` 등으로 사랑받은 소설가 신경숙(52)이 표절 논란에 휘말렸다.

지난 16일 소설가 겸 시인인 이응준씨는 한 온라인 매체를 통해 `우상의 어둠, 문학의 타락`이란 제목의 기고문을 공개했다.

그는 창작과 비평이 출간한 신경숙 작가의 `오래전 집을 떠날 때`에 수록된 단편 `전설`의 한 대목(240~241쪽)이 미시마 유키오 작품의 구절을 표절했다며 비판했다.

이응준씨의 기고문에 따르면 "두 사람 다 실로 건강한 젊은 육체의 소유자였던 탓으로 그들의 밤은 격렬했다. 밤뿐만 아니라 훈련을 마치고 흙먼지투성이의 군복을 벗는 동안마저 안타까워하면서 집에 오자마자 아내를 그 자리에 쓰러뜨리는 일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레이코도 잘 응했다. 첫날밤을 지낸 지 한 달이 넘었을까 말까 할 때 벌써 레이코는 기쁨을 아는 몸이 되었고, 중위도 그런 레이코의 변화를 기뻐하였다"라는 미시마 유키오 작가의 `금각사, 우국, 연회는 끝나고`(233쪽. 김후란 옮김. 주우세계문학전집. 1983년 발행)의 한 구절과 신경숙 작가의 `전설`의 구절이 유사하다.

신경숙 소설 `전설`은 "두 사람 다 건강한 육체의 주인들이었다. 그들의 밤은 격렬하였다. 남자는 바깥에서 돌아와 흙먼지 묻은 얼굴을 씻다가도 뭔가를 안타까워하며 서둘러 여자를 쓰러뜨리는 일이 매번이었다. 첫날밤을 가진 뒤 두 달 남짓, 여자는 벌써 기쁨을 아는 몸이 되었다. 여자의 청일한 아름다움 속으로 관능은 향기롭고 풍요롭게 배어들었다. 그 무르익음은 노래를 부르는 여자의 목소리 속으로도 기름지게 스며들어 이젠 여자가 노래를 부르는 게 아니라 노래가 여자에게 빨려오는 듯했다. 여자의 변화를 가장 기뻐한 건 물론 남자였다"라고 쓰여졌다.

특히 이 씨는 "기쁨을 아는 몸이 되었다"는 역자의 표현에 대해 "이러한 언어조합은 가령, `추억의 속도` 같은 지극히 시적 표현으로서 누군가 어디에서 우연히 보고 들은 것을 실수로 적어서는 결코 발화될 수 없는 차원의, 그러니까 의식적으로 도용하지 않고서는 절대로 튀어나올 수 없는 문학적 유전공학의 결과물"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신경숙은 한국문학의 당대사 안에서 처세의 달인인 평론가들로부터 상전처럼 떠받들어지고 있으며 동인문학상의 종신심사위원을 맡는 등 한국문단 최고의 권력이기도 하다"며 "신경숙이 저지른 표절이 (중략) 하루하루가 풍전등화인 한국문학의 본령에 입힌 상처는 그 어떤 뼈아픈 후회보다 더 참담한 것"이라고 전했다.

신경숙 작가의 표절 시비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신 작가는 앞서 1999년 발표한 소설 `딸기밭`과 장편 `기차는 7시에 떠나네`, 단편 `작별인사` 등 작품들에서도 크고 작은 표절 시비에 휘말린 바 있다.

한편,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