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에도 이런저런 경제적 압박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인구 진입을 목전에 둔 55~64세의 장년층 고용률 역시 세계 최고 수준으로
노후 준비 부족으로 은퇴를 앞두거나 은퇴를 한 뒤에도 다시 노동시장으로 내몰리는 남성들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배규식 한국노동연구원 노사·사회정책연구본부장은 23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보건복지부 주최 `고령사회대책 토론회`에서 OECD의 `노화와 고용정책 통계`(Ageing and Employment Policies)를 분석한 결과,
2007~2012년 한국 남성의 평균 실제은퇴 연령이 71.1세였다고 밝혔다.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한국만 유일하게 평균 은퇴연령이 70살 이상이었다.
한국 남성의 실제은퇴 연령은 OECD 회원국 평균인 64.3세보다 6.8세 높은 것이다.
한국 다음으로는 일본이 69.1세였고 스웨덴과 스위스가 66.1세, 미국 65.0세, 호주 64.9세 순이었다.
벨기에(59.6세)와 프랑스(59.7세)는 60세에도 못미쳤다.
다른 회원국들 대부분의 공식 퇴직연령이 65세인 것과 달리 한국의 공식 퇴직연령이 60세라는 점을 감안하면
은퇴 후 재취업해서 일하는 한국 남성들이 다른 국가에 비해 상당히 많다는 뜻이 된다.
한국 남성들은 정년을 다 채웠다고 하더라도 최소 11.1년은 노동 시장에서 일을 하는 셈이다.
실제은퇴 연령은 한국 여성 역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한국 여성의 실제은퇴 연령은 69.8세로 일본(66.7세)과 미국(65.0세)보다 높았으며 OECD 평균(63.2세)보다 6.6세 높았다.
중고령자의 고용률은 높은 편이었지만, 이들 중 절반 가까이는 비정규직이었다.
2013년을 기준으로 중고령자의 49.5%는 시간제나 임시직 노동자였고
현재 직장에 1년미만 근속한 사람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44.7%나 됐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