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가 길어지면서 업황 부진에 신음하는 대기업들이 늘어나면서 은행권도 곯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밑빠진 독에 물붓기`에 은행의 건전성과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기 때문입니다. 저마다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면서 대기업 대출전략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됩니다.
박시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국내 대표 조선 3사의 올해 적자 예상 규모는 6조원에 달합니다.
실적과 건전성에 고스란히 반영되는 부실기업 여신에 은행들마저 휘청이고 있는 상황. 은행들은 취약 업종에 대한 대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3조원의 적자를 발표한 대우조선해양의 후폭풍으로 은행주마저 약세를 보일 정도로 우려는 하나 둘씩 현실로 바뀌고 있습니다.
결국 추가 지원을 중단하는 한편 신규여신에 대해 보수적인 태도를 보이는 은행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가장 적극적인 곳은 우리은행입니다. 우리은행은 지난 5월 성동조선해양에 대해 수출입은행이 제안한 지원안을 잇따라 거부하면서 주목받았습니다.
최근에는 자율협약이 만료된 삼부토건에 대해서도 자율협약 시기를 연장하지 않기로 하는 등 여신관리를 위해 결단을 내리고 있습니다.
지금은 기업 지원 보다는 눈앞에 다가온 정부지분 매각을 위해 기업 가치를 올려야 하는 과제가 더욱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당국은 최근 채권은행의 여신 담당 임원들을 불러 대우조선에 대한 여신 회수를 자제해 달라며 협조를 구했지만 이제는 무턱대고 지켜볼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시중은행 여신담당 고위관계자
“갑자기 한 번에 대출을 회수한다거나 할 수는 없겠지만 부실 기업에 대해서는 자구계획안 등을 분석해 단계적으로 대출을 감축하는 방향으로 논의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구조조정을 위한 전문회사를 도입하겠다는 정부의 대책이 조속히 시행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가뜩이나 저금리로 수익성 악화에 시달리는 은행권이 부실채권 우려로 불똥이 튀면서 잔뜩 몸을 움츠리기 시작했습니다.
한국경제TV 박시은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