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 생각은 어떻습니까?··직장 회식의 적당한 주기

입력 2015-08-11 09:45  

우리나라 대기업 직장인들은 한 달에 한 번 정도의 직장 회식이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국내 최대 완성차업체인 현대자동차그룹 임직원들의 생각이지만 개인 또는 가족 중심의 문화 확산으로

대기업에서도 회식은 이제 될 수 있으면 피해야 할 행사로 변모하고 있음을 한 마디로 보여준다 하겠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그룹이 최근 임직원 801명을 대상으로 `회식은 얼마나 자주 하는 게 적당할까`라고 물은 결과

응답자의 41%가 `월말 결산하듯` 한 달에 한 번이면 충분하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26%는 `계절이 바뀔 때마다 분기에 한번 하는 게 좋다`고 답할 정도로 회식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그런가하면 응답자의 24%는 `한 달에 한 번은 정이 없다`면서 보름에 한 번씩 회식하는 게 적당하다고 봤다.

`일 년에 한 번`과 `일주일에 한 번`은 각각 응답자의 4%였으며 매일 회식하자는 응답자는 전체의 1%에 불과했다.

회식과 관련,잊고 싶은 비화에 대한 설문에는 전체의 53%가 분위기에 취해 필름이 끊길 때까지 술을 먹어

다음날 기억이 가물가물했던 사례를 꼽았다.

이어 `평소 친해지고 싶었던 동료에게 취기를 빌려 속마음을 말해버렸다`(11%),

`분위기도 파악 못 하고 눈치 없이 값비싼 메뉴를 주문했다`(10%), `음식 서빙하다 서툴러 실수를 연발했다`(9%) 순이었다.

현대차그룹 직원들이 해보고 싶은 직장 회식은 `열정을 쏟아내는 스포츠 경기장에서 치맥과 함께하는 회식`(23%)이 1위였다.

`우아한 분위기의 레스토랑에서 하는 정찬 회식`(22%), `회식의 정석은 역시 고깃집에서 정겹게`(20%),

`영화관이나 미술관에서 하는 회식`·`볼링이나 당구 같은 게임을 하는 회식`(16%)이 뒤를 이었다.

회식이 절실하게 생각날 때는 `팀 분위기를 빵빵 띄우고 싶을 때`가 전체 응답자의 49%로 압도적이었다.

회식이 반갑지 않을 때는 `피곤에 취했을 때`(40%), `업무가 교통 체증처럼 밀려올 때`(23%),

`다음날 중요한 일정이 있을 때`(15%) 순이었다.

이같은 사례를 종합,응용하면 환영받는 직장인은 어찌 하면 되나의 도식이 산출될 듯도 싶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